6주 프로젝트를 2주차에 접어든 지금..
1주일은 기획으로 불태웠다면 지금은 crud의 반복으로 빠져들었다!
항상 하던 작업이었지만, 새로운 변수가 시간을 지체하게 만들었고.. 디자이너님들의 작업물을 css입히는 작업이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피그마에 있는 코드들을 그냥 따라 쓰면 된다고 생각했지만 박스 안에 내용물을 넣는 작업뿐인데도 2시간이 넘게 걸렸다.
물론 미숙해서였겠지만, css는 시간을 쏟은만큼 나오는구나 라고 생각했다!
- api가 나오기 전 혼자서 서버와 연결하면 이렇게 가겠지? 이렇게 오겠지? 등등 상상코딩을 마친 상태였다. 그리고 api가 나오고 post를 하려는데 계속해서 에러가 났다.
post페이지에서 첨부파일을 미리보기로 설정할 때 빈괄호로 [ ] 묶어둔 작업이 있었는데 이 묶어둔 애들을 그대로 서버에 보내니까 맞지 않는 형태라고 계속 에러를 뱉어냈다.
따라서 모듈에서 map으로 하나씩 꺼내서 formData에 넣었더니 아주 잘 들어갔다..!!!
이 날도 깨달았던 형식 통일의 중요성!!!!- optionalChaining
useEffect는 return 후 실행이 된다.
따라서 처음엔 undefined가 실행되고 리덕스에 다녀와서 리듀서에서 불러온 값을 렌더링하게 되는데 이때 내가 불러온 값들에 ?. 이나 if===undefined 일 때 return <React.Fragment /> 을 해주면 오류가 사라졌다.
이 방법과 함께 defaulProps나 initialState도 잘 써주자! 라고 생각하게 됐다.- process.env
최근에 우리반에서 해킹이슈가 있었다. api key의 중요성을 알고있기는 했지만 뭔가 디테일하게는 잘 알지 못했는데 환경변수 설정이라는게 있었다. 여기에 우리가 사용하는 baseURL이라던지, 중요하고 노출되면 안되는 key를 변수로 설정해두고 gitIgnore 하면 깃에 푸쉬할 때도 노출되지 않고 우리의 소중한 key를 지킬 수 있었다!- 서버에서 3개로 테스트를 하고 있었는데 서버를 하나로 합치면서 db에 데이터가 싹 날라가서 갑자기 내가 작업하던 모든 것들이 전부 실행이 안됐다. 로그인한 유저와 현재의 유저가 분명히 같은데 보여야 할 버튼이 안나타난다던가.. 그랬는데 싹 주석 처리하고 하나씩 풀어보는데 useEffect를 지웠을 때 렌더가 되는 것을 확인하고 서버에서 db가 꼬였나? 하고 생각했었는데 실제로 db를 밀었더니 갑자기 잘 실행됐다..
왜 되지...?
이제 다음주엔.. 다중이미지를 포함해서 수정을 성공해야한다..
나에겐 가장 큰 난제인데 어떻게 해결해야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