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t-In 프로젝트 개발에서의 포인트를 짚고 정리하는 글Fit-In의 전체적인 컨셉과 주제,기획안은 완료 이를 바탕으로 UI/UX 구성 및 초안 작성 완료서버 구현은 REST API 형식으로 구현, AWS로 배포하기 전 로컬 형태로 테스트 해보면서 진행, 한 번에 바
이전 글에서 Spring 서버와 통신을 완료하였고 회원가입 & 로그인 로직을 처리함, 이때 로그인을 할 때 Token으로 받아왔는데 이 부분을 어떻게 처리할 지 원리가 무엇인지 알아볼 것임설명에 앞서 원래는 단순하게 서버를 기반으로 진행하는 방식을 생각함URL만 있다면
이전에 가장 고민했던 부분이 Kotlin으로 코드 개선 및 구조에 대해서 개선사항이 명확했었음, 그리고 지금은 구현에 초점을 맞췄지만 만약 실제 출시하는 앱이라는 가정이라면 구현하고 돌아가는데 문제는 없더라도 의외에 에러에 맞딱드릴 수 있을 것 같았음현재 구현한 것을
이전까지 서버 통신을 기준으로 그 생각만 했기 때문에 상당히 러프하게 구현에 초점을 맞춤Package만 나눴지 사실상 Activity가 서로 얽히고 얽힌 상당히 복잡한 구조...Activity가 View 전환, Data 처리 등 상당히 많은 Task를 안고 있음, 지금
추가 개선사항 RxJava 적용 내용 설명 및 콜백 패턴과 비교 + RxJava 적용 사례 보여줌 추후 업데이트 추가 Dagger2 & Hilt 등 DI 패턴 구분 및 보류 Kotlin 보류
리사이클러뷰 Data Binding 및 ViewModel 활용한 부분 DiffUtil + ListAdapter 사용 이유 BindingAdapter 적용한 부분
이전에 Java로 개발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문제는 스파게티 코드와 보일러 플레이트 코드였음서로가 서로를 참조하고 생성자부터해서 필요 이상으로 코드가 늘어지는 현상이 발생했음물론 이 부분을 1차적으로 MVVM 패턴을 적용시켜서 개선을 하였지만 이전에 경험에 빗대어서 이
Dependency는 의존성이라고 하는데 이 의존성은 하나의 클래스가 다른 하나의 클래스에 의존하는 것을 의미함A 클래스 객체를 만들기 위해 B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음여기서 Dependency Injection은 쉽게 생각해보면 이러한 의존관계에 있는
Kotlin이 도입되면서 Thread로 비동기 처리를 한 것을 좀 더 작은 단위로써 처리할 수 있게 하는 Coroutine여기서 설명하는 Thread에 대한 Dispatchers와 Coroutine에 디테일한 개념에 대해서는 Kotlin 공식문서와 Android 공식문
안드로이드 권장 아키텍처인 UI & Domain & Data Layer로 최대한 나눠봄여기서 UseCase을 사용하거나 Clean Architecture 방식은 아님단, AAC(Android Architecture Components)에 MVVM 기반의 Reposi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