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4 나라가 있습니다. 124 나라에서는 10진법이 아닌 다음과 같은 자신들만의 규칙으로 수를 표현합니다.
10진법 | 124나라 | 10진법 | 124나라 |
---|---|---|---|
1 | 1 | 6 | 14 |
2 | 2 | 7 | 21 |
3 | 4 | 8 | 22 |
4 | 11 | 9 | 24 |
5 | 12 | 10 | 41 |
자연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을 124 나라에서 사용하는 숫자로 바꾼 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n은 500,000,000이하의 자연수 입니다.
입출력 예
n | result |
---|---|
1 | 1 |
2 | 2 |
3 | 4 |
4 | 11 |
function solution(n){
const oneTowFour = [4,1,2];
let answer = ''; // 문자열로 반환
while(n){
answer = oneTowFour[n % 3] + answer;
n = (n % 3 === 0) ? n/3 - 1 : Math.floor(n/3)
}
return answer;
}
console.log(solution(6)) // 14;
풀이방식
3진법을 변형한 규칙이다.
1,2는 기존의 3진법과 동일하지만 0이 나올경우에만 값이 다르다. 또한 3진법은 1,2,4 숫자보다 먼저 자릿수가 올라간다.
주어진수(n)을 3으로 나눈 나머지가 0일 경우에는 4, 1 일때는 1, 2일때는 2로 바뀐다. 배열로 나타내면 [4,1,2]이다. answer값은 n % 3에 대체되는 124숫자를 넣어준후, 나머지가 0이라면 , 몫에서 -1을 해준다.
보통 반복문은 for문을 사용했는데 while문도 많이 사용해 봐야겠다.
참고
https://after-newmoon.tistory.com/59
https://swoo1226.tistory.com/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