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 {0: 10, 1: 20, 2: 30} # 위치 정보 제공
a
> {0: 10, 1: 20, 2: 30}
type(a) # 딕셔너리는 {}
> dict
a[0]
> 10
b = { 'a': 10, 'b': 20, 'c': 30}
b
> {'a': 10, 'b': 20, 'c': 30}
b['a']
> 10
b['b']
> 20
b["c"]
> 30
▶ 리스트나 튜플에서 인덱스라고 불리는 부분을, 딕셔너리에서는 키라고 한다.
b.keys() # 딕셔너리에 어떤게 키로 사용되고 있는지 보여주는 함수
> dict_keys(['a', 'b', 'c'])
b.values() # 값을 꺼내줄 때 필요한 함수
> dict_values([10, 20, 30])
b['d'] = 40 # 딕셔너리 추가
b
> {'a': 10, 'b': 20, 'c': 30, 'd': 40}
b.keys()
> dict_keys(['a', 'b', 'c', 'd'])
b.values()
> dict_values([10, 20, 30, 40])
del b['c'] # 원소 삭제
b
> {'a': 10, 'b': 20, 'd': 40}
b['e'] = [50,60,70] # 딕셔너리 안에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생성 가능
b
> {'a': 10, 'b': 20, 'd': 40, 'e': [50, 60, 70]}
b['f'] = (100,200)
b
> {'a': 10, 'b': 20, 'd': 40, 'e': [50, 60, 70], 'f': (100, 200)}
집합은 어떤 특정 원소가 있는지 없는지를, 다른 자료형에 비해 매우 빠르게 찾아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
원소가 몇개가 있는지가 아니라 있는지 없는지만 봄.
a = {1, 3, 5}
a
> {1, 3, 5}
type(a) # 집합
> set
a.add(7) # 원소 추가
a
> {1, 3, 5, 7}
a.add(5) # 이미 있는 원소를 추가하면 변화가 없음
a
> {1, 3, 5, 7}
a.remove(5)
a
> {1, 3, 7}
1 in a # a라는 집합에 1이 있는가?
> True
2 in a
> False
2 not in a # a라는 집합에 2라는게 없느냐?
> True
1 not in a
> False
b = {1, 2, 4, 6}
b
> {1, 2, 4, 6}
a | b # 합집합
> {1, 2, 3, 4, 6, 7}
a # a,b 자체에 영향을 주지 않음
> {1, 3, 7}
b
> {1, 2, 4, 6}
ab = a| b
ab
> {1, 2, 3, 4, 6, 7}
a & b # 교집합
> {1}
abc = a & b
abc
> {1}
type(abc)
set
문자열에서의 연산
a = '안녕'
b = '하세요'
a + b
> '안녕하세요'
a + a + b
> '안녕안녕하세요'
a * 2
> '안녕안녕'
a * 10
> '안녕안녕안녕안녕안녕안녕안녕안녕안녕안녕'
a * 2 + b
> '안녕안녕하세요'
c = a * 2 + b
c
> '안녕안녕하세요'
c[0]
> '안'
c[2:4]
> '안녕'
c[2:]
> '안녕하세요'
c[:4]
'안녕안녕'
for x in c :
print(x)
> 안
녕
안
녕
하
세
요
d = 'Hello World!'
d
> 'Hello World!'
for x in d : # 띄어쓰기도 포함됨
print(x)
> H
e
l
l
o
W
o
r
l
d
!
d.replace('Hello','Hi') # 교체, 하지만 자체를 바꾸는 건 아님
> 'Hi World!'
d
> 'Hello World!'
e = d.replace('Hello','Hi')
e
> 'Hi World!'
a =' 안녕 '
a
> ' 안녕 '
b = '안녕'
a == b # 띄어쓰기로 다른 걸로 인식되어버림
> False
a.strip() # 양쪽 공백 모두 제거, 이것도 일시적으로 자체를 바꾸는 것이 아님
> '안녕'
a = a.strip()
a
> '안녕'
a == b
> True
b = '000-123-4567'
b.split('-') # 구분기호를 기준으로 끊어줌, 자체를 변하는 것은 아님
> ['000', '123', '4567']
b
> '000-123-4567'
c = b.split('-')
c
> ['000', '123', '4567']
c[0]
> '000'
c[2]
> '4567'
c[-1]
> '4567'
d = '빅데이터 머신러닝 인공지능'
d.split(" ") # == d.split()
> ['빅데이터', '머신러닝', '인공지능']
e = d.split(" ")
e
> ['빅데이터', '머신러닝', '인공지능']
''.join(e) # 끊어질걸 .앞에 부호로 이어주는 역할
> '빅데이터머신러닝인공지능'
'-'.join(e)
> '빅데이터-머신러닝-인공지능'
f = '-'.join(e)
f
> '빅데이터-머신러닝-인공지능'
a = 'Hello World!'
a # 대소문자를 구분해서 수를 세서, 통일을 해주면 좋음
> 'Hello World!'
a.lower()
> 'hello world!'
a.upper()
> 'HELLO WORLD!'
a # 원래의 값은 바뀌지 않음
> 'Hello World!'
c = 'HelLo'
c
> 'HelLo'
c.count('l') #대소문자 구별해서 수를 센다.
1
d = c.lower()
d.count('l')
> 2
.most_common()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counter 쓰기 위해
a = 'a abc a ab abc a'
b = a.split()
b
> ['a', 'abc', 'a', 'ab', 'abc', 'a']
c = Counter(b)
c # 텍스트에 있는 단어의 개수를 세줌
> Counter({'a': 3, 'abc': 2, 'ab': 1})
c.most_common() # 가장 많이 나온 순으로 출력
> [('a', 3), ('abc', 2), ('ab', 1)]
c.most_common(1) # 가로 안에 숫자를 넣으면 가장 빈번하게 나온 n번째까지 나옴
> [('a', 3)]
c.most_common(2)
> [('a', 3), ('abc', 2)]
d = dict(c.most_common()) # 딕셔너리 형태로 저장
d
> {'a': 3, 'abc': 2, 'ab': 1}
type(d)
> dict
d['a'] # 딕셔너리 형태로 저장하면 좋은 점은 문자를 입력하면 몇번 나왔는지 바로 알 수 있음
> 3
d['ab']
> 1
.copy()
a = [ 10,20,30]
b = a # a,b가 들어있는 내용물은 물론 타입도 같아짐
b
> [10, 20, 30]
type(a)
> list
type(b)
> list
b[1] = 200
b
> [10, 200, 30]
a # 위에 b=a라고 해서 a와b가 연동이 된다.
> [10, 200, 30]
# 둘이 똑같이 연동돼서 복사하는게 아니라면,
from copy import copy
a = [10,20,30]
b = a.copy() # 한 곳을 같이 쓰는게 아니라, 새로운 것을 만들어서 쓰는 거라 개별적으로 활용 가능
b
> [10, 20, 30]
b[1] = 200
b
> [10, 200, 30]
a
> [10, 20, 30]
a == b
> False
c = {1:100, 2:200, 3:300}
d = c
del c[1]
c
> {2: 200, 3: 300}
d # 리스트가 아니라 딕셔너리 형태여도 결과는 동일
> {2: 200, 3: 300}
c == d
> True
c = {1:100, 2:200, 3:300}
d = c.copy()
d
> {1: 100, 2: 200, 3: 300}
del c[1]
c
> {2: 200, 3: 300}
d
> {1: 100, 2: 200, 3: 300}
c == d
> False
e = {1,3,5} # 집합에서도 마찬가지
f = e
e.remove(1)
e
> {3, 5}
f
> {3, 5}
e == f
> True
e = {1,3,5}
f = e.copy()
e.remove(1)
e
> {3, 5}
f
> {1, 3, 5}
e == f
> False
일대일로 매칭해서 하나씩 순서에 맞게 가져오고 싶을 때
반복문에서 많이 사용됨
a = 'abcd'
b = [1,2,3,4]
for x in a:
print(x)
> a
b
c
d
for x in b:
print(x)
> 1
2
3
4
for x,y in zip(a,b) :
print(x,y)
> a 1
b 2
c 3
d 4
ab = dict(zip(a,b))
ab
> {'a': 1, 'b': 2, 'c': 3, 'd': 4}
type(ab)
> dict
abc = {'a': 1, 'b': 2, 'c': 3, 'd': 4}
abc
> {'a': 1, 'b': 2, 'c': 3, 'd': 4}
ab == abc # 하나씩하나씩 만든 것과 zip으로 만든거 둘다 결과가 같음
> True
a
> 'abcd'
b
> [1, 2, 3, 4]
c = [10,20,30,40]
for x, y, z in zip(a,b,c) :
print(x,y,z)
> a 1 10
b 2 20
c 3 30
d 4 40
위치정보가 필요할 때
a
> 'abcd'
for x in a :
print(x)
> a
b
c
d
for i, x in enumerate(a): # i에는 위치정보가 입력됨
print(i,x)
> 0 a
1 b
2 c
3 d
for i, x in enumerate(a,10): # 위치정보의 시작하는 인덱스의 값을 설정할 수 있음
print(i,x)
> 10 a
11 b
12 c
13 d
for i, x in enumerate(a,1):
print(i,x)
> 1 a
2 b
3 c
4 d
d = dict(enumerate(a,1))
d
> {1: 'a', 2: 'b', 3: 'c', 4: 'd'}
e = ['짱구', '맹구', '유리']
for i, x in enumerate(e,1):
print(i,x)
> 1 짱구
2 맹구
3 유리
f = dict(enumerate(e,1))
f
> {1: '짱구', 2: '맹구', 3: '유리'}
g = '빅데이터 머신러닝 인공지능'
h = dict(enumerate(g,1))
h
> {1: '빅',
2: '데',
3: '이',
4: '터',
5: ' ',
6: '머',
7: '신',
8: '러',
9: '닝',
10: ' ',
11: '인',
12: '공',
13: '지',
14: '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