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Lifecycle

kim yeeun·2023년 11월 27일
1

1️⃣ 리액트의 생명주기

컴포넌트는 생성(mounting) -> 업데이트(updating) -> 제거(unmounting)의 생명주기를 갖습니다.

리액트 클래스 컴포넌트는 라이프 사이클 메서드를 사용하고, 함수형 컴포넌트는 Hook을 사용합니다.

1.1 Class Componet 생명주기

👀 마운트(mount)

컴포넌트가 생성 될때 발생하는 생명주기들을 알아봅시다.

☑️ constructor

컴포넌트 생성자 메서드, 컴포넌트가 생성되면 가장 먼저 실행되는 메서드
this.props, this.state에 접근이 가능하고 리액트 요소를 반환합니다.

☑️ getDerivedStateFromProps

props로부터 파생된 state를 가져옵니다. 즉 props로 받아온 것을 state에 넣어주고 싶을때 사용합니다.

☑️ render

컴포넌트를 렌더링하는 메서드입니다.

☑️ componentDidMount

컴포넌트가 마운트 됨, 즉 컴포넌트의 첫번째 렌더링이 마치면 호출되는 메서드 입니다.
이 메서드가 호출되는 시점에는 화면에 컴포넌트가 나타난 상태입니다.
여기서는 주로 DOM을 사용해야 하는 외부 라이브러리 연동, 해당 컴포넌트에서 필요로하는 데이터를 ajax로 요청, 등의 행위를 합니다.

useEffect(()=>{
	console.log("componentDidMount");     
},[])

👀 업데이트(updating)

컴포넌트가 업데이트되는 시점에 어떤 생명주기 메서드들이 호출되는지 알아봅니다.

☑️ getDerivedStateFromProps

컴포넌트의 props나 state가 바뀌었을때도 이 메서드가 호출됩니다.

☑️ shouldComponentUpdate

컴포넌트가 리렌더링 할지 말지를 결정하는 메서드입니다.

React.memo와 유사함, boolean 반환으로 결정

☑️ componentDidUpdate

컴포넌트가 업데이트 되고 난 후 발생합니다.

의존성 배열이 변할때만 useEffect가 실행하는 것과 같음

useEffect(() => {
	console.log("count or exampleProp changed");     
},[count, exampleProp]);

👀 언마운트(unmount)

언마운트라는 것은 컴포넌트가 화면에서 사라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언마운트에 관련된 생명주기 메서드는 componentWillUnmount 하나입니다.

☑️ componentWillUnmount

컴포넌트가 화면에서 사라지기 직전에 호출됩니다.
여기서 주로 DOM에 직접 등록했었던 이벤트를 제거하고, 만약에 setTimeout을 걸은 것이 있다면 clearTimeout을 통하여 제거를 합니다.
추가적으로, 외부 라이브러리를 사용한게 있고 해당 라이브러리에 dispose기능이 있다면 여기서 호출해주시면 됩니다.

useEffect(()=>{
	console.log("");     
    return(() => exampleAPI.unsubscribe());
})

1.2 Functional Componet 생명주기

리액트에서 Hook은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React state와 생명주기 기능을 연동 할 수 있게 해주는 함수입니다.
Hook은 class 안에서는 동작하지 않고, class없이 React를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 리액트 훅을 도입한 목적

기존의 라이프사이클 메서드 기반이 아닌 로직 기반으로 나눌 수 있어서 컴포넌트를 함수 단위로 잘게 쪼갤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라이프사이클 메서드에는 관련 없는 로직이 자주 섞여 들어가는데, 이로인해 버그가 쉽게 발생하고, 무결성을 쉽게 해친다

👀 Hook 사용 규칙 두가지

최상위 에서만 Hook을 호출해야 한다

반복문, 조건문, 중첩된 함수 내에서 Hook을 실행하면 안된다.

이 규칙을 따르면 컴포넌트가 렌더링될 때마다 항상 동일한 순서로 Hook이 호출되는 것이 보장된다.

리액트 함수 컴포넌트에서만 Hook을 호출해야 한다.

일반 JS함수에서는 Hook을 호출해서는 안된다.

👀 Hook의 종류와 정리

☑️ useState
상태를 관리합니다. [state이름, setter이름] 순으로 반환 받아서 사용합니다.

☑️ useEffect
화면에 렌더링이 완료된 후에 수행되며componentDidMount와 componentDidUpdate, componentWillUnmount가 합쳐진 것

❗️만약 화면을 다 그리기 이전에 동기화 되어야 하는 경우에는,useLayoutEffect를 활용하여 컴포넌트 렌더링 - useLayoutEffect 실행 - 화면 업데이트 순으로 effect를 실행시킬 수 있다.

useEffect(() => {}); // 렌더링 결과가 실제 돔에 반영된 후마다 호출
useEffect(() => {}, []); // 컴포넌트가 처음 나타날때 한 번 호출
useEffect(() => {}, [의존성1, 의존성2, ..]); // 조건부 effect 발생, 의존성 중 하나가 변경된다면 effect는 항상 재생성됩니다.

useEffect안에서의 return은 정리 함수(clean-up)를 사용하기위해 쓰여집니다.

메모리 누수 방지를 위해 UI에서 컴포넌트를 제거하기 전에 수행

컴포넌트가 여러 번 렌더링 된다면 다음 effect가 수행되기 전에 이전 effect가 정리됩니다.

☑️ useContext

Context API를 통해 만들어진 Context에서 제공하는 Value를 가져올 수 있다.

const value = useContext(MyContext);

컴포넌트에서 가장 가까운 <MyContext.Provider>가 갱신되면 이 Hook은 그 MyContext provider에게 전달된 가장 최신의 context value를 사용하여 렌더러를 트리거 합니다.

☑️ useReducer
useState의 대체 함수로 컴포넌트 상태 업데이트 로직을 컴포넌트에서 분리시킬 수 있습니다.
컴포넌트 바깥에 로직을 작성할 수 도 있고, 심지어 다른 파일에 작성한 후 불러와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reducer란 현재 상태와 액션 객체를 파라미터로 받아와서 새로운 상태를 반환해주는 함수 입니다.

const [state, dispatch] = useReducer(reducer, initialArg, init);

☑️ useRef
특정 DOM 선택할때 주로 쓰이며 .current 프로퍼티로 전달된 인자로 초기화된 변경 가능한 ref 객체를 반환합니다. 반환된 객체는 컴포넌트의 전 생애주기를 통해 유지됩니다.

const refContainer = useRef(null);

☑️ useMemo

메모이제이션된 값을 반환합니다. 이미 연산 된 값을 리렌더링 시 다시 계산하지 않도록 한다. 의존성이 변경되었을 때에만 메모이제이션된 값만 다시 계산 합니다. 의존성 배열이 없는 경우 매 렌더링 때마다 새 값을 계산합니다.

const memoizedValue = useMemo(() => computeExpensiveValue(a, b), [a, b]);

useMemo를 쓰는 이유는 이 훅이 함수의 결과를 캐싱 하여 동일한 입력에 대해 동일한 결과를 다시 계산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이렇게 하면 계산 비용을 줄이고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React 컴포넌트는 상태 변화나 속성(props)의 변경 등에 의해 렌더링 됩니다. 컴포넌트가 다시 렌더링될 때, useMemo를 사용하여 특정 연산의 결과를 캐시하면 이전에 계산된 결과를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일한 입력 값으로 함수가 호출되면, useMemo는 이전에 계산된 결과를 반환하고 새로운 계산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이는 불필요한 계산을 줄여주고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 useCallback
메모이제이션 된 콜백을 반환합니다. useMemo와 유사하게 이용되며 '함수'에 적용해줍니다.
의존성이 변경 되었을때만 변경됩니다. 때문에 특정 함수를 새로 만들지 않고 재사용가능하게 합니다.

const memoizedCallback = useCallback(
  () => {
    doSomething(a, b);
  },
  [a, b],
);

useCallback을 써야하는 이유는 ?

useCallback은 React에서 제공하는 훅 중 하나로, 메모이제이션된 콜백 함수를 반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함수의 불필요한 재생성을 방지하여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React 컴포넌트는 렌더링될 때마다 함수들을 다시 생성합니다. 이는 주로 자식 컴포넌트에게 전달되는 함수를 포함합니다. 때때로, 부모 컴포넌트가 렌더링되어도 자식 컴포넌트에게는 새로운 함수가 전달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자식 컴포넌트는 새로운 함수로 인식하고 리렌더링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불필요한 렌더링이 발생하고,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useCallback을 사용하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useCallback은 함수를 메모이제이션(캐싱)하여, 동일한 함수가 생성되었을 때에는 동일한 메모이제이션된 버전을 반환합니다. 따라서 동일한 함수에 대해서는 새로운 함수를 생성하지 않고 이전에 생성된 메모이제이션된 함수를 재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한 렌더링을 방지하고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profile
안녕하세요 프론트엔드 엔지니어 김예은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