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중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은 각자 정수 번호를 갖고 있습니다. 이 학교 학생 3명의 정수 번호를 더했을 때 0이 되면 3명의 학생은 삼총사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5명의 학생이 있고, 각각의 정수 번호가 순서대로 -2, 3, 0, 2, -5일 때, 첫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학생의 정수 번호를 더하면 0이므로 세 학생은 삼총사입니다. 또한, 두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학생의 정수 번호를 더해도 0이므로 세 학생도 삼총사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 한국중학교에서는 두 가지 방법으로 삼총사를 만들 수 있습니다.
한국중학교 학생들의 번호를 나타내는 정수 배열 number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학생들 중 삼총사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의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number | result |
---|---|
[-2, 3, 0, 2, -5] | 2 |
[-3, -2, -1, 0, 1, 2, 3] | 5 |
[-1, 1, -1, 1] | 0 |
입출력 예 #1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학생들의 정수 번호 쌍 (-3, 0, 3), (-2, 0, 2), (-1, 0, 1), (-2, -1, 3), (-3, 1, 2) 이 삼총사가 될 수 있으므로, 5를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3
삼총사가 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function solution(number) {
let sum = 0;
for(let i = 0; i < number.length; i++){
for(let j = i+1; j < number.length; j++){
for(let k = j+1; k < number.length; k++)
if(number[i]+number[j]+number[k] === 0)
sum += 1;
}
}
return sum;
}
3개를 골라내면 되니까 반복문 3개를 중첩해서 순열을 골라 주었다. 순열을 고른다고 하면 왼쪽에서 골랐던 것을 제외하고 오른쪽에서만 고르면 되기 때문에 시작을 각각 i+1, j+1에서 해주면 된다. 만약 합이 0이라면 sum에 1을 더해 주었다.
for문 3개 정도는 중첩해 줬지만 이런식으로 조합을 구하면 골라야 할 수가 커질 때 너무 많은 for문을 중첩하게 된다. 따라서 골라야할 숫자가 커지면 재귀함수를 이용하는것이 좋다.
function solution(number) {
let result = 0;
const combination = (current, start) => {
if (current.length === 3) {
result += current.reduce((acc, cur) => acc + cur, 0) === 0 ? 1 : 0;
return;
}
for (let i = start; i < number.length; i++) {
combination([...current, number[i]], i + 1);
}
}
combination([], 0);
return result;
}
재귀함수를 이용한 풀이이다. 재귀함수가 실행되는 과정을 하나하나 살펴보겠다.
number이 [-2, 3, 0, 2, -5]라고 가정해 보자. combination =
(current,start) 부분은 함수를 정의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쭉 넘어간 다음, combination([],0) 부분에서 함수를 호출한다. current.length === 1이므로 for문을 돌게 된다.
그리고 for문(i=0)을 돌며 combination([-2],1)을 호출한다. 호출된 combination([-2],1)은 다시 combination([-2,3],2)를, combination([-2,3,0],3)을 호출한다. current.length가 3이므로 result값에 배열의 합이 0이라면 1을 더해 주고 리턴해 준다. 그래서 combination([-2,3,0],3)을 종료하고 다시 combination([-2,3],2)로 돌아간다.
다음 for문으로 돌아가면 i는 1을 증가시킨 3이 되므로,
1을 증가시켜서 [-2,3]에 number[3], 즉 2를 결합한combination([-2,3,2],4)를 호출하고, 순차적으로 combination([2,3,-5],5)를 호출한 다음 반복문을 종료시킨다. 이 반복문이 종료되었기 때문에 이번에는 combination([-2],1)로 돌아가게 된다.
이번에도 i가 1 증가하기 때문에 combination([-2,0],3)를 호출하고, combination([-2,0,2],4), combination([-2,0,5],5)를 차례차례 호출하여 모든 조합을 검사하게 만들어 준다. 이렇게 재귀적으로 자기 자신을 호출하다가 모든 for문이 끝나면 종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