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Javascript)

·2022년 9월 25일
0
post-thumbnail

S사에서는 각 부서에 필요한 물품을 지원해 주기 위해 부서별로 물품을 구매하는데 필요한 금액을 조사했습니다. 그러나, 전체 예산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모든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최대한 많은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 있도록 하려고 합니다.

물품을 구매해 줄 때는 각 부서가 신청한 금액만큼을 모두 지원해 줘야 합니다. 예를 들어 1,000원을 신청한 부서에는 정확히 1,000원을 지원해야 하며, 1,000원보다 적은 금액을 지원해 줄 수는 없습니다.

부서별로 신청한 금액이 들어있는 배열 d와 예산 budget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최대 몇 개의 부서에 물품을 지원할 수 있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d는 부서별로 신청한 금액이 들어있는 배열이며, 길이(전체 부서의 개수)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d의 각 원소는 부서별로 신청한 금액을 나타내며, 부서별 신청 금액은 1 이상 100,0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budget은 예산을 나타내며, 1 이상 10,000,0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dbudgetresult
[1,3,2,5,4]93
[2,2,3,3]104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각 부서에서 [1원, 3원, 2원, 5원, 4원]만큼의 금액을 신청했습니다. 만약에, 1원, 2원, 4원을 신청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주면 예산 9원에서 7원이 소비되어 2원이 남습니다. 항상 정확히 신청한 금액만큼 지원해 줘야 하므로 남은 2원으로 나머지 부서를 지원해 주지 않습니다. 위 방법 외에 3개 부서를 지원해 줄 방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원, 2원, 3원을 신청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주려면 6원이 필요합니다.
1원, 2원, 5원을 신청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주려면 8원이 필요합니다.
1원, 3원, 4원을 신청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주려면 8원이 필요합니다.
1원, 3원, 5원을 신청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주려면 9원이 필요합니다.
3개 부서보다 더 많은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는 없으므로 최대 3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 있습니다.

입출력 예 #2
모든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주면 10원이 됩니다. 따라서 최대 4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 있습니다.

나의 풀이

function solution(d, budget) {
    let sum = 0;
    for(let i = 0; budget >= 0; i++){
            budget -= d.sort((a,b)=>a-b)[i];
            sum += 1;
        }   
    return sum-1;

}

최대한 많은 부서를 지원해주려면 가장 요구하는 돈이 적은 부서부터 지원해주면 된다. 그래서 배열 d를 작은 수부터 정렬해준 다음, 작은 수부터 예산 budget에서 빼줬다. 빼준 다음 sum에 갯수를 하나씩 더해 줬다. budget이 0 이하가 되어도 마지막 sum에는 갯수를 하나 더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return값에서 1을 빼줬다.

참고할 풀이 1

function solution(d, budget) {
    d.sort((a, b) => a - b);

    while (d.reduce((a, b) => (a + b), 0) > budget) d.pop();

    return d.length;
}

reduce()를 사용할 수 있을 듯 하여 고민을 많이 했다. 그런데 결국 방법을 생각해내진 못했다.
이 풀이에서는 일단 배열을 작은 순서대로 정렬한다. reduce값으로 전체 배열의 합을 구해준 다음, budget과 비교하여 합이 더 크다면 배열 d에서 마지막 요소를 빼주고 그것을 while문으로 반복해줬다. 예산이 전체 합보다 크다면 멈출 것이고, 그 때 배열의 길이를 리턴해 줬다. 이 방식이 반복할 때마다 reduce()를 호출해서 속도가 좀 느리다고 한다.

function solution(d, budget) {
    return d.sort((a, b) => a - b).reduce((count, price) => {
        return count + ((budget -= price) >= 0);
    }, 0);
}

reduce()를 이용하여 이런 식으로도 풀 수 있다. count는 0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budget -=price 값이 0보다 크면 boolean 값에 따라 true면 1, false면 0을 반환한다. 그렇게 누적값이 0보다 클때는 1을 하나씩 더해주고 0보다 작을 때는 0을 더해서 총 갯수를 구하게 된다.

function solution(d, budget){
  return d.reduce((acc,curr,i)=> (acc+curr) >= budget? i : acc + curr)

나는 이런 식으로 처음에 만들었다. acc + curr가 budget보다 작다면 acc + curr으로 가고, acc = acc+ curr이 되어서 반복해서 검증한 다음 이 값이 true라면 i를 인출하면 될 줄 알았는데, 생각과는 다르게 첫번째 케이스에서는 4, 두번째 케이스에서는 10이 나왔다. reduce 함수는 모든 값을 호출하기 때문에 항상 i는 배열 길이-1이 나와서 그런듯 하다. 그리고 두 번쨰 배열은 값을 나중에 합해주기 때문인 듯 하다. 먼저 합계를 구한 다음 budget과 비교할 수 있었어야 했다.

참고할 풀이 2

var solution=(d,b)=> d.sort((a,b)=>a-b).filter(x=> b-x>=0?(b=b-x,1):0).length

filter를 이용해서 풀어 줄 수도 있다. 배열을 정렬한 다음, filter를 사용해준다. 콜백함수로 b-x가 0보다 크거나 같다면, b= b-x로 바꿔주고, 1을 반환하도록 한다. 그리고 아니라면 0을 반환한다. filter는 false(0)을 반환하면 값을 버리기 때문에 합계가 b보다 작은 수만 남는다. 그의 길이를 세 주면 된다.

profile
전 이것도 몰라요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