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정수들이 있습니다. 이 정수들의 절댓값을 차례대로 담은 정수 배열 absolutes와 이 정수들의 부호를 차례대로 담은 불리언 배열 sign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실제 정수들의 합을 구하여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absolutes의 길이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absolutes의 모든 수는 각각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signs의 길이는 absolutes의 길이와 같습니다.
signs[i] 가 참이면 absolutes[i] 의 실제 정수가 양수임을, 그렇지 않으면 음수임을 의미합니다.
absolutes | signs | result |
---|---|---|
[4,7,12] | [true,false,true] | 9 |
[1,2,3] | [false,false,true] | 0 |
입출력 예 #1
signs가 [true,false,true] 이므로, 실제 수들의 값은 각각 4, -7, 12입니다.
따라서 세 수의 합인 9를 return 해야 합니다.
입출력 예 #2
signs가 [false,false,true] 이므로, 실제 수들의 값은 각각 -1, -2, 3입니다.
따라서 세 수의 합인 0을 return 해야 합니다.
function solution(absolutes, signs){
let sum = 0;
for (i=0; i<absolutes.length; i++){
signs[i]? sum += absolutes[i] : sum -= absolutes[i];
}
return sum;
}
반복문을 사용해서 풀어 주었다. for 구문을 사용하는 게 속도면에서는 빠르다고 한다.
function solution(absolutes, signs) {
return absolutes.reduce((acc, val, i) => acc + (val * (signs[i] ? 1 : -1)), 0);
}
이건 reduce()
함수를 이용해서 풀어 줬다. 이 비슷하게 풀었었는데 reduce()
함수가 인자가 두 개 일 때밖에 안 풀어 봐서 뒤에 인자가 올수 있다는 것을 깜빡했다. reduce()
함수의 세 번째 인자는 현재 인덱스이므로 0, 1, 2, 3 ... 순서로 계속 바뀌게 된다. 그러므로 변수 i를 받은 다음 sign[i]를 받아 주면 signs의 배열의 값을 하나하나 받아올 수 있는 것이다. 아래는 비슷한 방법으로 푼 나의 풀이이다.
function solution(absolutes, signs) {
return sum = absolutes.reduce((acc, curr, i)=> signs[i]? acc + curr : acc - curr, 0);
}
function solution(absolutes, signs) {
let answer = 0;
absolutes.forEach((v, i) => {
if (signs[i]) {
answer += v;
} else {
answer -= v;
}
})
return answer;
}
forEach()
를 사용해도 배열에서 하나하나 꺼내서 반복시킬 수 있다. forEach()
의 두 번째 인자도 인덱스이기 때문에 0,1,2.. 이런 식으로 하나씩 값을 증가시키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