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기초] Shell(쉘)

upmoo·2022년 9월 15일
1

Linux

목록 보기
5/7
post-thumbnail

Shell

  •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커널에게 번역해주는 프로그램
  • 입력은 터미널에 하고 쉘은 명령어를 관리 및 번역하며 사용자의 명령어를 해석해서 운영체제가 해당 명령을 수행하게 도와준다.

쉘의 종류

  • 현재 가장 많이 쓰는 쉘은 bash이다.

명령어 히스토리

  • 키보드 화살표 위쪽으로 이전에 친 명령어들을 다시 쓸 수 있다.
  • 쉘에 history를 치면 이전에 친 모든 명령어를 다 볼 수 있다.
    - history의 번호를 확인하고 쉘에다 !번호 를 입력하면 해당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잇다.

alias

  • alias를 설정하여 긴 명령어를 내가 원하는 짧거나 간단한 단어로 대신 칠 수 있다.
    ex) alias look='ls -lai'
    위 명령어를 실행한 이후 look을 치면 ls -lai가 실행된다.

쉘 메타문자

경로 이름 메타문자

~ : 홈 디렉토리를 가리킨다.

  • : 바로 이전 디렉토리를 가리킨다.

인용부호 메타문자

` ` : 안에 있는 문자를 명령어로 인식하게 한다.
' ' : 안에 있는 메타문자를 일반 문자로 인식하게 한다.
" " : $, `, \ 위 3문자를 제외한 나머지 문자만 일반 문자로 인식하게 한다.

$, `, \는 리눅스 쉘에서 변수를 사용할 때 쓰기 때문에 " " 를 사용한다.

방향 재지정 메타문자

  • < : 표준 입력 재지정
  • > : 표준 출력 및 표준 에러 재지정
  • | : 파이프
    명령어A | 명령어B 와 같은 형태로 사용한다.
    명령어A의 결과를 명령어B의 입력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명령어 두 개 뿐 아니라 |(파이프) 와 명령어를 계속 뒤로 붙여서 여러 명령어를 연계할 수 있다.
  • 표준 입출력 및 에러코드는 다음과 같다.
  • /dev/null은 일종의 쓰레기통으로 쓰지 않는 디렉토리라고 보면 된다.
  • 방향재지정을 통해 내가 원치 않는 출력, 에러문을 /dev/null로 방향 재지정 해서 날려버릴 수 있다.
  • 또는 내가 원하는, 따로 쓸 필요가 있는 출력 및 에러문을 내가 원하는 곳에 저장하거나 내가 원하는 때에 출력할 수 있고, 명령어끼리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초기화 파일

사용자 초기화 파일 종류

  • /etc/profile : 시스템 전역에 걸쳐 환경설정 파일. 모든 사용자에게 적용된다.
  • ~/.profile : 개별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잇는 설정 파일. 각 사용자에게만 적용된다.
  • ~/.bashrc : 개별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있는 쉘 설정 파일. 각 사용자의 쉘에 적용된다.
    환경변수, 쉘 프롬프트 모양, alias, 쉘 옵션 정의 등을 설정할 수 있다.

환경변수

  • 환경변수란, 시스템 환경에 대한 설정을 저장하고 있는 변수다.
    HOME : 사용자의 홈디렉토리
    PATH : 실행파일을 찾는 경로
    LANG : 프로그램 사용시 기본 지원되는 언어
    SHELL : 로그인해서 사용하는 쉘
    EDITOR : 기본 편집기의 이름
    PS1 : 명령프롬프트 변수
profile
공부 내용 정리를 위한 개인 블로그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