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컴퓨터들 간에 TCP/IP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도록 하기 위한 네트워크.
네트워크의 네트워크를 구현해서 모든 컴퓨터를 하나의 통신망으로 연결.
동작 순서
1. 컴퓨터 간에 케이블 또는 무선 연결
2. 컴퓨터 수가 많아지면 라우터 사용
3. 라우터끼리 연결하여 수백대이상의 컴퓨터를 연결
4. 모뎀을 이용하여 거리가 먼 지역끼리도 연결
5.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보내기 위하여 ISP 연결
컴퓨터와 컴퓨터간의 지역네트워크와 광역네트워크에서 원활한 통신을 가능하게끔 하기 위한 통신 규약.
TCP: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에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전달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프로토콜.
IP: 네트워크 상에서의 컴퓨터 고유 주소.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텍스트 기반의 통신 규약 프로토콜. TCP/IP를 이용.
클라이언트가 request를 보내고 서버에서 해당 요청사항에 맞는 결과를 response하는 형태.
기존 HTTP에 데이터 암호화가 추가된 프로토콜. 네트워크 상에서 제3자가 데이터를 볼 수 없도록 데이터를 암호화. 대칭키와 비대칭키 암호화 모두 사용.
연결 과정:
1. HTTPS 연결과정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먼저 세션 키를 교환 (비대칭키 사용).
2. 연결 이후에 데이터를 교환 하는 과정에서 빠른 연산 속도를 위하여 대칭키 사용.
도메인 네임 시스템은 호스트의 도메인명을 네트워크 주소로 변경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DN을 통하여 컴퓨터가 어느 IP주소로 연결 되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ex) 구글의 DN은 google.com, IP주소는 172.217.161.174
도메인 네임은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를 식별할 수 있는 호스트명.
도메인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명을 의미.
ex) naver.com
호스트 네임은 네트워크 연결된 장치들에게 부여되는 고유 이름.
ex) mail.naver.com -> mail(호스트네임)
외부의 서버를 빌려서 기능을 사용하는 의미.
웹 호스팅
서버 컴퓨터의 일정 공간을 웹페이즈를 올리려는 사용자에게 임대해주는 서비스.
서버 호스팅
서버를 통째로 구매하여 서버 운영에 필요한 인프라와 기술력을 제공 받는 서비스.
클라우드 호스팅
원격 서버를 사용하여 한대 혹은 그 이상의 서버에 가상 공간을 만들어 서버로 이용하는 서비스.
웹 호스팅과 서버 호스팅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