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script] 유니온의 인터페이스보다는 인터페이스의 유니온을 사용하기

김유진·2023년 5월 3일
0

Effective-TypeScript

목록 보기
16/28
post-thumbnail
post-custom-banner

유티온 타입의 속성을 가지는 인터페이스를 만들고 있다면, 인터페이스의 유니온 타입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알맞지 않을 지 검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interface Layer {
  layout: FillLayout | LineLayout | PointLayout;
  paint: FillPaint | LinePaint | PointPaint;
}

이러한 타입 설계는 몇가지 이상한 점이 있다.
먼저, layoutLineLayout 형태이면서 paint 속성이 FillPaint인 것은 말이 안된다. 이를 더 나은 형태로 모델링하려면, 타입의 계층을 분리된 인터페이스로 작성해야 한다.

interface FillLayer {
  layout: FillLayout;
  paint: FillPaint;
}
interface LineLayer {
  layout: LineLayout;
  paint: LinePaint;
}
interface PointLayer{
  layout: PointLayout;
  paint: PointPaint;
}
type Layer = FillLayer | LineLayer | PointLayer;

이런 형태로 인터페이스의 유니온을 사용하게 되면 잘못된 조합으로 타입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코드는 유효한 상태만을 표현할 수 있도록 타입을 정의한 것과 동일하다.

태그된 유니온 사용하기

이러한 패턴에서 가장 많이 보일 수 있는 형태는 태그된 유니온이다. type을 작성하는 것이다.

interface Layer {
  type: 'fill' | 'line' | 'point';
  layout: FillLayout | LineLayout | PointLayout;
  paint: FillPaint | LinePaint | PointPaint;
}

이렇게 작성한 뒤에 분기를 나눌 수 있다.

interface FillLayer {
  type: 'fill';
  layout: FillLayout;
  paint: FillPaint;
}
interface LineLayer {
  type: 'line';
  layout: LineLayout;
  paint: LinePaint;
}
interface PointLayer{
  type:'paint';
  layout: PointLayout;
  paint: PointPaint;
}
type Layer = FillLayer | LineLayer | PointLayer;

type속성은 태그이며, 어떤 타입의 Layer가 사용되었는지 판단하여 범위를 좁힐 때 사용될수도 있다.

function drawLayer(layer: Layer) {
  if(layer.type === 'fill'){
    const {paint} = layer;
    const {layout} = layer;
  } else if (layer.type === 'line'){
    const {paint} = layer;
    const {layout} = layer;
  } else {
    const {paint} = layer;
    const {layout} = layer;
  }
}

이로써 타입스크립트의 코드가 정확성을 체크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반복되는 코드가 많아 보여서 복잡해 보인다.

이렇게 어떤 타입을 유효한 범위에서 체크하고 싶다면, 태그된 유니온으로 표현할 수 있을 때 그렇게 표현하는 것이 좋다. 여러개의 선택적 필드가 동시에 값이 존재하거나, undefined인 경우에 태그된 유니온 패턴을 이용하면 문제점을 잘 해결할 수 있다.

다른 예시를 하나 더 보자.

interface Person {
  name: string;
  placeOfBirth?: string;
  dateOfBirth?: Date;
}

출생에 관련된 정보는 둘 다 있거나 동시에 없을 수도 있다. 그래서 두 개의 객체를 하나로 모으는 것이 더 나은 설계이다.

interface Person {
  name: string;
  birth?: {
    place: string;
    date : Date;
  }
}

이렇게 설계하는 것은 null속성을 하나로 묶어 처리하여 해당 값을 경계로 설정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하지만, place만 있고, date가 없는 경우에는 오류가 발생한다. 그래서 해당 객체를 매개변수로 받는 함수는 해당 값이 있는지 없는지 체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function eulogize(p: Person) {
  console.log(p.name);
  const {birth} = p;
  if(birth) {
    console.log(`was born on ${birth.date} in ${birth.place}.`);
  }
}

만약, 타입의 구조를 직접 손 댈 수 없는 상황이라면 인터페이스의 유니온을 사용해 보도록 하자.

interface Name {
  name: string;
}
interface PersonWithBirth extends Name{
  placeOfBirth: string;
  dateOfBirth: Date;
}
type Person = Name | PersonWithBirth;

이제 중첩된 객체에서도 동일한 효과를 볼 수 있다.

function eulogize(p: Person) {
  if('placeOfBirth' in p){
    p
    const {dateOfBirth} = p
    }
}

결론적으로 유니온 타입의 속성을 여러 개 가지는 인터페이스는 속성 관의 관계가 분명하지 않아 유효하지 않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실수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유니온의 인터페이스보다는 인터페이스의 유니온을 사용하는 게 더욱 정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흐름을 분석하기 위하여 타입 태그를 추가하는 것도 좋은 고려사항 중의 하나이다.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