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처리 전문가가 되고 싶은 "어피치"는 문자열을 압축하는 방법에 대해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대량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간단한 비손실 압축 방법에 대해 공부를 하고 있는데, 문자열에서 같은 값이 연속해서 나타나는 것을 그 문자의 개수와 반복되는 값으로 표현하여 더 짧은 문자열로 줄여서 표현하는 알고리즘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간단한 예로 "aabbaccc"의 경우 "2a2ba3c"(문자가 반복되지 않아 한번만 나타난 경우 1은 생략함)와 같이 표현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은 반복되는 문자가 적은 경우 압축률이 낮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abcabcdede"와 같은 문자열은 전혀 압축되지 않습니다. "어피치"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문자열을 1개 이상의 단위로 잘라서 압축하여 더 짧은 문자열로 표현할 수 있는지 방법을 찾아보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ababcdcdababcdcd"의 경우 문자를 1개 단위로 자르면 전혀 압축되지 않지만, 2개 단위로 잘라서 압축한다면 "2ab2cd2ab2cd"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다른 방법으로 8개 단위로 잘라서 압축한다면 "2ababcdcd"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때가 가장 짧게 압축하여 표현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다른 예로, "abcabcdede"와 같은 경우, 문자를 2개 단위로 잘라서 압축하면 "abcabc2de"가 되지만, 3개 단위로 자른다면 "2abcdede"가 되어 3개 단위가 가장 짧은 압축 방법이 됩니다. 이때 3개 단위로 자르고 마지막에 남는 문자열은 그대로 붙여주면 됩니다.
압축할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위에 설명한 방법으로 1개 이상 단위로 문자열을 잘라 압축하여 표현한 문자열 중 가장 짧은 것의 길이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s) {
int answer = Integer.MAX_VALUE; // 최소값을 찾기 위한 처리.
if (s.length() == 1) // 길이가 1인 문자열인 경우, 바로 길이 1을 리턴합니다. ⬇
return 1;
for (int i = 1; i < s.length() / 2 + 1; i++)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 결과를 담을 StringBuilder를 선언합니다.
int count = 1; // 옆에 요소와 비교하기 때문에 시작은 1입니다.
for (int j = 0; j < s.length() - i; j += i) { // 길이가 1인 경우는 위에서 처리했고, 2이상부터 처리합니다.
if (j + 2 * i <= s.length()) { // 인덱스 범위 확인
if (s.substring(j, j + i).equals(s.substring(j + i, j + 2 * i))) {
count++; // 현재 문자열(j, j + i)과 그 다음 문자열(j + i, j + 2 * i)의 값을 비교하여 같을 경우 갯수를 누적합니다.
} else { // 같지 않을 경우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작업을 수행합니다.
if (count >= 2) { // 갯수가 2개 이상부터 숫자로 표기하므로 체크합니다.
sb.append(Integer.valueOf(count).toString()); // 숫자의 자리수에 따라 갯수를 처리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sb.append(s.substring(j, j + i)); // 앞서 만든 StringBuilder에 추가합니다.
} else { // 갯수가 1개일 경우 바로 추가합니다.
sb.append(s.substring(j, j + i));
}
count = 1; // 갯수 초기화
}
if (j + 2 * i == s.length()) { // 갯수가 딱 맞아떨어지는 경우입니다. 끝의 값은 비교할 대상이 없으므로 바로 추가합니다. 위의 과정과 동일합니다.
if (count >= 2) {
sb.append(Integer.valueOf(count).toString());
sb.append(s.substring(j + i, j + 2 * i));
} else {
sb.append(s.substring(j + i, j + 2 * i));
}
}
} else { // 다음 비교대상의 길이가 현재 비교 대상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입니다.
if (count >= 2) { // 위와 동일하게 처리합니다.
sb.append(Integer.valueOf(count).toString());
sb.append(s.substring(j, j + i));
sb.append(s.substring(j + i));
} else {
sb.append(s.substring(j));
}
}
}
// System.out.println(sb);
answer = Math.min(answer, sb.length());
}
return answer;
}
}
😥😣 정말 역대급으로 긴 시간이 걸렸던 것 같습니다. 처음 접근을 잘못하여 꽤 많은 시간을 허비했네요... ㅜㅜ 아직 저에게 2단계는 많이 버겁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