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공부 3(SI/SM, Project 포지션, ERP/MES)

RedNine·2023년 12월 12일
0

cs공부

목록 보기
3/10

🍳 SI/SM

🎈 SI(System Integration)

SI는 기업이 필요로 하는 정보시스템에 관한 기획에서부터 개발과 구축 및 운영까지의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 기업에서 사용할 프로그램을 구축하는 업무이다.

  • 요구사항 분석, 분석 및 설계, 테스트, 검수
  • 프로젝트 단위로 진행되며, 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팀이 구성되고 개발환경과 개발 언어 등 모두 결정된다.

🎁업무 진행 프로세스

1 단계 분석 : 고객의 요구 사항을 수집하는 단계
2 단계 설계 : 개발 가능한 형태로 설계하는 단계
3 단계 개발 : 분석, 설계를 통해 정해진 규격으로 프로그램을 구축하는 단계
4 단계 테스트 : 완성된 프로그램을 테스트하고 안정화하는 단계
5 단계 검수 : 계약대로 결과물이 구축되었는지 확인하고 인증받는 단계

🎈 SM(system Maintenance)

SM은 시스템의 기능상의 오류가 발생하거나, 현재 구축된 프로그램의 기능을 변경 혹은 추가 하는등의 실제 현업에서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들이 시스템을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업무이다.

  • 오류 수정, 기능 개선, 기능 추가, 데이터 제공, 시스템 안정화
  • SI를 통해 개발된 프로젝트를 유지보수 하는 것
  • 현업의 업무지식에 특화되며, 예를들어 금융 시스템의 SM을 담당한다면 자연스레 개발자도 개발 이외의 금융 지식에 대해 쌓이게될 것이다.
  • 프로젝트 단위가 아니어서 한 시스템을 장기적으로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업무 진행 프로세스

1. 오류 수정 : 시스템 오류를 수정
2. 기능 개선 : 기능을 수정하거나 불편 요소를 개선
3. 기능 추가 : 필요한 기능을 추가 개발
4. 데이터 제공 : 요구하는 데이터를 DB에서 추출
5. 시스템 안정화 : 시스템 운영을 위한 최적화

🍳 Project 포지션

🎈 PM(Project Manager)

PM은 모든 업무를 관리하는 총괄자이다. 외부 팀과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하고 의견을 조율하는 담당자라고 할 수 있다.

🎈 PL(Project Leader)

PL은 PM을 도와 프로젝트의 관리를 담당한다. 개발, 화면설계와 일정관리등의 관리 능력, DB와 WAS등의 고급기술,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화면을 설계하여 자신이 관리하는 개발자들이 실제 개발을 진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관리한다.

🎈 AA(Aplication Architect)

AA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설계를 바탕으로 실제 사용할 수 있는 ERP 등과 같은 IT 솔루션을 설계하는 역할을 한다.

🎈 TA(Technical Architect)

TA는 운영체제(OS), WEB, WAS, DB 설치 등 하드웨어와 네트워크의 구축을 담당하는 담당자이다.

🎈 DA(Data Architect)

DA는 데이터 표준, 구조, 품질, 마이그레이션 등을 설계하는 DB 설계자이다.

🎈 QA(Quality Assurance)

QA는 산출물과 각종 문서와 소스코드에 대한 품질을 보증하는 담당자이다.

🎈 EA(Enterprise Architect) or BA(Business Architect)

EA 또는 BA는 기술적 관점이 아닌 비즈니스 관점의 프로세스 설계자이다.

🎈 SA(Solutions Architect)

SA는 프로젝트나 어떠한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따라 개발환경과 같은 솔루션에 대한 설계를 담당하는 담당자이다. EA 설계자는 넓은 지식을 가지고 있다면 SA담당자는 깊은 지식을 보유하고 있다.

※ 개발자(Developer)는 프로젝트 최 하단에서 실제 개발을 진행한다.

🍳 ERP/MES

🎈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는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 또는 전사적통합시스템이다. 생산 및 물류, 재무, 영업 및 구매, 회계, 재고 등 경영에서 필요한 모든 프로세스 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기업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각 정보를 빠르게 분석해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MES는 제조실행시스템이다. 제품의 주문 단계에서 완성 단계까지 모든 생산 활동의 최적화를 지원하여 실시간으로 정확한 데이터를 이용해 공장 내에 존재하는 모든 작업 활동을 가이드하는 등 착수 및 보고한다. 때문에 공정의 효율화를 높여주는 등의 장점이 있다.

🎈 ERP와 MES의 차이점

ERP와 MES 두 시스템 모두 데이터를 취합하고 처리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데이터 수집 및 처리 시점의 차이가 있다. MES는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처리하지만 ERP는 완료 후 결과만을 처리한다.

MES는 실시간으로 현장 상태의 정보를 제공하여 작업자의 이사결정을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 공정관리, 자원관리 등 실질적 생산에 관련된 관리시스템에 가깝다.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하여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추적이 가능하고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이지만,

ERP는 경영시스템 구축에 최적화된 시스탬으로 영업정보와 구매 및 인사 등의 영역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ERP는 완료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기 때문에 어느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한건지 추적이 어렵고 이와 관련된 조치를 취할 수 없어 불량률 감소보다는 오히려 더 많은 불량이 발생할 수도 있다.

※ 이 두 시스템은 종종 통합되어 사용되어, 기업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SI 프로젝트 진행 절차

※ 참고만 하기

  • 🎨 1. 프로젝트 전체 일정 작성
    프로젝트 전체 일정에 대해서 사전 계획을 진행한다. 개발의 상세 일정이나 투입인력 등의 수준에서 정리한다.
  • 🎨 2. 착수보고
    프로젝트 착수를 위한 보고이다. 해야하는 프로젝트 착수에 대한 보고를 간결하고 명확하게 해야한다.
  • 🎨 3. 기능 요건 정리
    SI 작업을 위한 중심 기능들의 요건을 정리한다. 없어서는 안될 기능들과 기능들을 빠짐없이 정리한다.
  • 🎨 4. 프로세스 정리
    기능 요건 정리에서 정의된 기능들이 실제 어떠한 업무 프로세스를 갖게 될지 프로세스의 흐름을 정리한다. 기능 구현의 순서를 파악하고, 빠져있는 요구사항들에 대해 상세하게 발견해 나간다.
  • 🎨5. 요구 사항 분석
    기능 요건 정리 및 프로세스 정리된 내용을 기초로 하여 상세한 요구 사항을 분석한다. 기능 하나에 포함되고 구형되어야 할 요구 사항들을 상세 분석을 통해 리스트화 해나간다.
  • 🎨 6. 분석/설계
    분석된 내용을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설계한다. 스토리 보드의 초안까지 정리되는 단계로서 SI에서는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
  • 🎨 7. 스토리보드(화면레이아웃)
    분석된 내용에 대한 화면 단위의 설계서(스토리보드)를 작성한다. 화면 또는 기능에 대한 상세가 정리 되어야 한다.
  • 🎨 8. 개발 상세 일정 작성
    화면 단위의 상세 일정을 계획한다.
  • 🎨 9. 1차 조정
    완성된 개발 상세 일정을 보고 판단되는 리스크에 대한 조정을 한다. 개발 상세 일정 작성 후 전반적인 프로젝트 진행의 위기 요소들을 판단하고 이에 대한 보완, 조정한다.
  • 🎨 10. TFT 전체 보고
    개발에 주력이 되는 현업 TFT에 대한 전체 보고를 진행한다. 본격적인 개발이 진행되기 전에 프로젝트 진행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보고한다.
  • 🎨 11. 개발 진행 관리
    개발 상세 일정에 따른 개발을 진행한다.
  • 🎨 12. 개발 산출물 작성
    개발 진행중 작성되어져야 할 산출물을 작성한다. ex) 테이블 명세서, 프로그램 사양서, 프로그램 정의서, 화면 정의서 등
  • 🎨 13. 변경 관리 TFT
    프로젝트 진행 중 요구 사항 변경에 대한 변경관리한다. 현업의 요구 사항은 모두 회의록에 상세 기록해야 한다.
  • 🎨 14. 중간보고
    프로젝트 진행에 대한 중간 보고이다. 현업의 중간 관리자급 이상의 관리자가 참석하는 가운데 진행되는 프로젝트 진행에 대한 중간 보고이다.

※ 이밖에도 단위 테스트, 성능 테스트, 운영 테스트 오픈 등이 있지만 밑에 SI 프로젝트 진행 절차 링크에서 더욱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

※ TFT(Task Force Team)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추진시 회사에서 선발된 사람들을 의미한다. 임시 팀을 이루어 운영되다가 그일을 마치게 되면 본래의 임무로 돌아간다.

🍳 참고 사이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