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은 암호화폐로서, 거래를 처리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거래를 처리하는 방법은 대표적으로
트랜잭션 방식, 그리고블록 방식이 있습니다.
비트코인 시스템에서는
블록 방식을 사용하여 거래를 처리합니다.
비트코인 시스템에서 트랜잭션 방식이 아닌 블록 방식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이유는 보안성과 효율성입니다. 비트코인 시스템에서 블록 방식이 효율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보안 강화] :
블록 방식을 사용하면 여러 거래를 한 번에 처리하고, 블록에 포함된 모든 거래를 함께 검증합니다. 이 과정에서 작업 증명(PoW) 등의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블록체인의 무결성을 유지하고, 거래 조작이나 이중 지불 등의 공격을 방지합니다.
[탈중앙화] :
블록 방식은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블록 생성 및 검증 과정에 참여할 수 있어, 중앙 기관의 개입 없이도 시스템이 작동합니다. 이로 인해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중앙 집중식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축적 최소화] :
블록 방식은 일정 시간 동안 발생한 여러 거래를 한 번에 처리하기 때문에, 시스템 내의 데이터 축적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투명성과 검증 용이성] :
블록 방식은 모든 거래를 분산 원장에 기록하고 공개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거래 내역을 검토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 투명성은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고 부정행위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블록 방식에서는 거래 데이터가 머클 트리로 구성되어 저장되는데, 이는 다량의 거래를 한번에 저장하고, 거래 검증 및 조회하기에 효율적인 데이터 구조입니다.
[확장성] :
블록 방식을 사용하면 여러 거래를 한 번에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이로 인해 시스템의 확장성이 향상되고, 많은 사용자들이 동시에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비록 비트코인의 경우 초당 처리 거래 수가 제한되어 있지만, 레이어 2 솔루션 등의 기술 발전으로 이러한 확장성 문제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