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 적용 가이드-후이즈/AWS

최혜미·2024년 12월 27일
1

cs

목록 보기
31/34

1. AWS Route 53 설정 시작하기

AWS 로그인 후 Route 53 접속 → 시작하기

  • AWS에서 도메인을 구매할 경우:
    Route 53에서 "도메인 등록"을 선택한 후,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 이미 다른 플랫폼에서 도메인을 구매한 경우:
    "호스팅 영역 생성"을 선택하여 설정을 진행합니다.

2. 도메인 이름 입력 및 호스팅 영역 생성

등록할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고 호스팅 영역을 생성합니다.

NS 레코드 복사

호스팅 영역이 생성되면, 생성된 NS(Name Server) 유형의 값들을 복사합니다. 이는 도메인을 구매한 곳에 네임서버 정보를 등록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3. 네임서버 등록

  • 구매한 도메인 관리 페이지 접속
    예: Whois와 같은 도메인 등록 사이트에서
    "내 도메인 관리" → "네임서버 변경" 메뉴로 이동합니다.
  • 네임서버 정보 입력
    • 네임서버 입력란에 AWS에서 제공한 네임서버 값을 그대로 복사합니다.
    • 주의사항: 복사한 네임서버 값 끝에 붙은 .(점)을 제거하고 입력해야 정상적으로 등록됩니다.
  • 저장 후 적용 확인
    네임서버 설정이 완료되면 WHOIS에서 정보가 갱신되었는지 확인합니다.

4. 서브도메인 설정

후이즈에서 네임서버 등록이 완료되면 이제 해당 도메인을 AWS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단순히 등록한 domain.com뿐만 아니라, api.domain.com과 같은 다양한 서브도메인을 활용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Route 53에서 레코드를 생성하여 각 서브도메인을 등록해 주어야 합니다.

💡서브도메인이란?

도메인 이름의 일부로, 기본 도메인(최상위 도메인)의 앞에 추가되는 부분입니다.
서브도메인을 사용하면 하나의 도메인 아래에서 여러 개의 하위 섹션을 분리하고 운영할 수 있습니다.
해당 프로젝트에서는 한 도메인에서 여러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해 서브도메인을 사용하였습니다.

  • 기본 도메인: example.com
  • 서브도메인: api.example.com, blog.example.com, shop.example.com

서브도메인을 사용하려면 Route 53에서 새 레코드를 생성합니다.

  • 레코드 이름: 사용할 서브도메인
  • 레코드 유형: CNAME
  • : 서브도메인을 연결할 로드밸런서의 DNS 이름

💡 로드밸런서 DNS 이름 확인

EC2 → 로드 밸런서 → 연결할 로드밸런서를 선택한 후, DNS 이름을 복사


5. 도메인 테스트

등록한 도메인으로 요청을 보냈을 때 성공적으로 요청이 전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로드밸런서에 도메인을 적용하는 이유


아키텍처를 살펴보면, 각 BO와 FO에 로드밸런서가 단일 진입점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FO 서버로 향하는 요청의 경우, 사용자는 test.api.domain.com이라는 도메인을 통해 접속합니다.
로드밸런서는 이 요청을 서버 1이나 서버 2로 분산 처리하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항상 동일한 도메인으로 접근하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단일 진입점 역할을 하는 로드밸런서에 도메인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 레코드 유형: A 레코드 vs CNAME 레코드

  • A 레코드
    • 도메인 이름을 특정 IP 주소로 직접 매핑합니다.
    • ex) 고정 IP 환경.
  • CNAME 레코드
    • 도메인 이름을 다른 도메인 이름에 매핑합니다.
    • ex) 동적 IP 환경 및 로드밸런서 설정.

❗️ 왜 CNAME을 사용해야 할까?

  1. AWS 로드밸런서의 동적 IP
    AWS ALB(Application Load Balancer)는 IP 주소가 지속적으로 변경됩니다. A 레코드로 매핑할 경우 IP 변경 시마다 수동으로 수정해야 하는 비효율이 발생합니다.
  2. 유지보수의 편의성
    CNAME은 도메인을 로드밸런서의 DNS 이름으로 연결하므로, 로드밸런서의 IP가 바뀌어도 별도의 수정 없이 동작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