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주소에 대해 알아보자

Gunju Kim·2025년 3월 26일
0

필수시청 영상

목록 보기
27/32

📌 IP 주소란?

  • 인터넷에서 각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 사람에게는 도메인 주소(naver.com)가 편하지만, 컴퓨터는 IP 주소로 통신함

  • 예: 192.168.0.1, 8.8.8.8

✅ 1. 공인 IP vs 사설 IP

✅ 2. 고정 IP vs 유동 IP

✅ 3. 포트포워딩 (Port Forwarding)

외부에서 라우터(공유기)의 공인 IP로 접속하면
내부의 특정 사설 IP 기기로 연결해주는 기술

📌 예시

  • 내 PC IP: 192.168.0.10

  • 라우터 공인 IP: 123.123.123.123

  • 외부에서 123.123.123.123:8080 요청 → 라우터가 내부 192.168.0.10:80으로 전달

[외부 사용자]
       |
    (공인IP)
[공유기] --- 포트포워딩 → [내부PC]

✅ 언제 사용하나요?

  • 집에서 웹서버, 게임서버, CCTV 설치 시

  • 원격 데스크톱 연결

  • NAS 접속

✅ 4. DMZ (Demilitarized Zone)

모든 외부 요청을 한 대의 내부 IP로 넘기는 설정
→ 보안이 없고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동작

📌 예시

공유기에서 DMZ를 192.168.0.50으로 설정하면
→ 외부에서 어떤 포트로 접속해도 무조건 192.168.0.50으로 전달

[외부 요청]
     ↓
   (공유기)
     ↓
  → [DMZ 대상 기기 (PC)]

✅ 언제 쓰나요?

  • 포트포워딩을 일일이 설정하기 귀찮을 때

  • 테스트용 서버를 임시로 외부에 완전 공개하고 싶을 때

⚠️ 보안상 매우 위험
→ 방화벽 설정 없이 DMZ는 외부 공격에 노출되기 쉬움

✅ 5. DDNS (Dynamic DNS)

유동 IP를 도메인 주소와 자동 연결해주는 서비스
(IP가 자주 바뀌더라도 myhome.ddns.net처럼 도메인 주소로 고정 접속 가능)

📌 왜 필요한가요?

  • 일반 가정 인터넷은 IP가 바뀜 (유동 IP)

  • 그런데 서버, CCTV, NAS 같은 장비에 외부에서 접속하려면 IP가 고정되어야 함

  • DDNS는 바뀐 IP를 자동으로 도메인과 연결

📌 예시 동작
1. 내 컴퓨터 IP가 123.123.123.123
2. DDNS 서비스에 등록한 도메인: mypc.ddns.net
3. DDNS 클라이언트가 IP 변경을 감지하고 자동으로 mypc.ddns.net → 123.123.123.123 업데이트

✅ 대표 서비스:

  • No-IP

  • DynDNS

  • 대부분의 공유기에는 DDNS 설정 탭이 있음

🎯 요약: 한 장에 정리

💡 예시 상황 정리

profile
처음이라서 그래 가본적 없던 길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