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형 데이터 모델링 ERD의 구성요소

Gunju Kim·2025년 3월 19일
0

필수시청 영상

목록 보기
13/32

✅ ERD (Entity-Relationship Diagram) 이란?

ERD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모델로,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에서 데이터를 논리적으로 구조화하고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쉽게 말해,

  • 어떤 데이터(엔티티)가 있고
  • 이 데이터들이 어떤 관계로 연결되는지
    를 그림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 ERD의 주요 구성요소 3가지

ERD는 크게 다음 세 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집니다.
- 엔티티(Entity)
- 속성(Attribute)
- 관계(Relationship)

각각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① 🔹 엔티티(Entity)

엔티티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객체(대상)를 의미합니다.

  • 사람, 장소, 사물, 개념 등 관리 대상이 되는 정보 단위입니다.
  • ERD에서는 일반적으로 사각형(▭) 으로 표시합니다.

예시:

  • 학생(Student)
  • 교수(Professor)
  • 과목(Course)

② 🔹 속성(Attribute)

속성은 엔티티가 가지는 특성, 속성값을 의미하는 데이터 항목입니다.

  • 엔티티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세부 정보입니다.
  • ERD에서는 일반적으로 타원형(◯) 또는 엔티티 안에 직접 나열하는 방식으로 표현합니다.

예시:

  • 학생(Student)의 속성:
    → 학번, 이름, 주소, 전공, 전화번호 등
  • 과목(Course)의 속성:
    → 과목번호, 과목명, 학점 등

③ 🔹 관계(Relationship)

관계는 엔티티 간의 연결이나 상호작용을 표현하는 요소입니다.

  • 관계는 일반적으로 마름모(◇) 또는 선으로 표현합니다.

  • 관계는 아래처럼 카디널리티(Cardinality, 대응수)를 나타냅니다

    - 일대일 (1:1)
    - 일대다 (1:N)
    - 다대다 (N:M)

관계의 예시:

  • 교수(Professor) → 과목(Course)
    (교수는 여러 과목을 강의할 수 있음: 일대다(1:N) 관계)

  • 학생(Student) → 과목(Course)
    (학생은 여러 과목을 수강하고, 과목은 여러 학생이 수강 가능: 다대다(N:M) 관계)

📌 ERD의 추가적 요소

다음 요소들은 ERD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 식별자 (Identifier)

  • 엔티티의 각 개체를 구분하는 데 사용되는 고유한 속성입니다.
  • 기본 키(Primary Key) 라고도 합니다.
  • 일반적으로 속성 이름 아래에 밑줄(__)로 표시하거나 굵게 표시합니다.

예) 학번, 주민번호 등

🔸 약한 엔티티(Weak Entity)

  • 독립적으로 식별될 수 없는 엔티티이며, 다른 엔티티에 의존합니다.
  • 보통 이중 사각형으로 표시합니다.

예) 주문 항목(OrderItem)은 주문(Order) 없이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습니다.

🎯 실제 ERD 예시

아래는 간단한 예시 ERD입니다.

[학생] ------ 수강(N:M) ------ [과목]
- 학번(PK)                    - 과목번호(PK)
- 이름                        - 과목명
- 전공                        - 학점
  • 학생과 과목은 다대다(N:M)의 관계를 갖습니다.
  • 이 경우에는 실제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중간 테이블을 만들어 N:M 관계를 1:N 관계로 변경합니다.
[학생] ---- 1:N ---- [수강] ---- N:1 ---- [과목]

🚩 한 줄 요약

ERD는 엔티티(사각형), 속성(타원형), 관계(마름모)로 구성되며,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시각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
처음이라서 그래 가본적 없던 길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