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치,NginX,톰캣 + 웹,WAS

Gunju Kim·2025년 3월 26일
0

필수시청 영상

목록 보기
30/32
post-thumbnail

🔧 용어 정리 먼저

🏗️ 1. 웹 서버 (Apache, Nginx)

✅ Apache HTTP Server

  • 가장 오래되고 널리 사용된 웹 서버

  • 모듈 기반 확장 구조

  • PHP, Perl 등과의 연동이 쉬움

  • 설정이 유연하지만, 무겁고 복잡할 수 있음

✅ Nginx (엔진엑스)

  • 경량화된 웹 서버 + 리버스 프록시 역할

  • 비동기/이벤트 기반 처리로 고성능

  • 정적 파일 처리에 매우 강함

  • 로드밸런서, 프록시 서버로도 많이 사용됨

🔥 2. WAS (Web Application Server) – 예: Tomcat

✅ Tomcat (톰캣)

  • Java 기반 동적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서버

  • JSP/Servlet 실행 가능

  • Apache와 함께 사용되기도 함 (Apache가 요청을 받고, Tomcat으로 전달)

✅ WAS의 역할

  • 클라이언트 요청을 받아 동적 처리 (예: 로그인, DB조회)

  • 비즈니스 로직 수행

  • HTML, JSON, XML 등 응답 생성

🌐 웹 서버 vs WAS

📦 예: 웹 시스템 구조 예시

[사용자 브라우저]
       ↓
[웹 서버: Nginx, Apache]
       ↓ (프록시, 로드밸런싱)
[WAS: Tomcat, Spring Boot]
       ↓
[DB: MySQL, PostgreSQL]

🔄 3. 프록시 서버 (Proxy)

✅ 정방향 프록시 (Forward Proxy)

  • 클라이언트 앞에 위치

  • 사용자의 요청을 대신 외부로 전달

    🔍 보안, 익명성 확보, 기업 내부망에서 주로 사용

✅ 리버스 프록시 (Reverse Proxy) ← 🔥 중요

  • 서버 앞에 위치

  • 클라이언트 요청을 받아 내부의 WAS나 백엔드 서버로 전달

🔍 Nginx, Apache가 리버스 프록시로 자주 사용됩니다

✅ 장점:

  • 보안 (WAS 노출 차단)

  • 로드 밸런싱 가능

  • SSL 종료 처리 가능

  • 캐싱 및 압축 처리 가능

⚖️ 4. 로드 밸런싱 (Load Balancing)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여러 서버에 분산시켜서 트래픽을 나눔
서버 부하 분산 → 성능 향상 & 장애 대응 가능

✅ 방식 종류

✅ 로드 밸런서 역할 예시

  • Nginx를 로드밸런서로 설정

  • api.myapp.com 요청을 내부 3개의 WAS로 분산

[사용자]
   ↓
[Nginx (리버스 프록시 + 로드밸런서)]
   ↓       ↓       ↓
[WAS1]  [WAS2]  [WAS3]

☑️ 전체 요약

🎯 한 줄 정리

웹 서버는 정적인 입구, WAS는 동적인 작업실, 프록시는 경비원, 로드밸런서는 안내자!

profile
처음이라서 그래 가본적 없던 길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