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N(Content Delivery Network,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은
웹 콘텐츠(이미지, CSS, JavaScript, 동영상 등)를 사용자와 가까운 서버에서 빠르게 제공하기 위한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입니다.
👉 쉽게 말해, CDN은 웹사이트 속도를 빠르게 하고, 트래픽 부하를 줄이는 필수적인 기술입니다.
CDN은 사용자가 요청한 콘텐츠를 원본 서버에서 받아와, 여러 지역의 캐시 서버에 저장한 후 제공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 CDN 동작 과정
1️⃣ 사용자가 웹사이트(example.com)를 방문하면, 브라우저가 HTML을 요청
2️⃣ HTML에 포함된 CSS, JS, 이미지, 동영상 등의 리소스 요청 발생
3️⃣ 요청이 CDN 서버(엣지 서버)로 전달됨
4️⃣ ✅ CDN 서버에 캐시가 있다면 즉시 응답 (빠름)
5️⃣ ❌ CDN 서버에 캐시가 없으면 원본 서버에서 가져와 저장 후 제공
6️⃣ 사용자에게 최적의 속도로 콘텐츠 제공
🔹 쉽게 비유하면?
👉 CDN은 전국에 있는 편의점 같은 역할을 합니다.
👉 필요할 때마다 본사(원본 서버)에서 직접 물건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 가까운 편의점(CDN 서버)에서 즉시 받아갈 수 있도록 미리 저장해 둡니다.

✅ 1. 웹사이트에서 CDN 사용하기 (HTML, CSS, JS)
CDN은 자주 사용되는 라이브러리(예: Bootstrap, jQuery)를 빠르게 로드할 때도 사용됩니다.
<!DOCTYPE html>
<html>
<head>
<!-- jQuery를 CDN으로 로드 -->
<script src="https://code.jquery.com/jquery-3.6.0.min.js"></script>
<!-- Bootstrap CSS CDN -->
<link rel="stylesheet" href="https://cdn.jsdelivr.net/npm/bootstrap@5.3.0/dist/css/bootstrap.min.css">
<!-- Bootstrap JS CDN -->
<script src="https://cdn.jsdelivr.net/npm/bootstrap@5.3.0/dist/js/bootstrap.bundle.min.js"></script>
</head>
<body>
<h1 class="text-primary">CDN 적용 예제</h1>
</body>
</html>
✅ 장점:
✅ 2. 이미지/정적 파일 CDN 적용
웹사이트에서 이미지, 동영상, CSS, JS 파일 등을 CDN을 통해 제공할 수 있습니다.
<img src="https://cdn.example.com/images/banner.jpg" alt="배너 이미지">
✅ 장점:
✅ 3. AWS CloudFront를 이용한 CDN 적용
AWS의 CloudFront를 사용하면 정적 파일을 캐싱하여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배포할 수 있습니다.
aws cloudfront create-distribution --origin-domain-name example.com
✅ 장점:
CDN의 캐싱(Cache) 정책을 잘 설정하면 더 빠른 속도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예제 (Nginx에서 캐싱 설정)
location /static/ {
expires 1d; # 1일 동안 캐시 유지
add_header Cache-Control "public, max-age=86400";
}
✅ 장점:
✅ 최신 콘텐츠 업데이트 문제
✅ 보안 설정 필요
✅ 잘못된 캐싱 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