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thumbnail

[Node.JS] 실습 - NotePad 개발

오늘은 fs 모듈과 express 모듈을 이용해서 웹 메모장을 만들어볼겁니다. NotePad 시리즈는 DB에 저장하고 불러오기 까지 여러편에 나누어서 진행할거에요. 먼저 fs는 file system의 약자입니다. 필요한 모듈은 아래와 같습니다 express fs ejs(view) 🎍 실습 워낙 기본적인 코드다 보니 설명하지 않고 넘어가겠습니다. 🎠 fs - 쓰기 위 코드를 이용해 txt파일을 생성하고 작성할 수 있습니다. writeFile() 함수는, 파일에 내용을 쓰는 함수 입니다. 만약 파일이 없다면 생성해서 내용을 작성합니다. (주의하실 점은, 있는 파일의 내용을 이어서 쓰진 않습니다) 🎨 fs - 이어쓰기 위 코드를 이용하면 파일이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이어쓰고, 없는 경우 새로 생성해서 작성합니다. 🎫 fs - 삭제 위 코드를 사용하면 해당 파일을 삭제시킬 수 있습니다. 🩱 fs - 이름 변

2020년 11월 2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ode.JS] Session

🧶 쿠키와 세션의 차이 쿠키(Cookie)란, 클라이언트 측(브라우저)에서 관리되는 작은 기록 정보 파일을 의미합니다. 쿠키에는 사용자 인증이 유효한 시간을 명시할 수 있으며, 한 번 유효 시간이 정해지면 브라우저를 끄더라도 인증이 유지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쿠키는 클라이언트인 Local 에서 저장되기 때문에, 누구나 쿠키의 값을 확인할 수 있어 값을 위변조하기 쉽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세션(Session)은 쿠키와 다르게 서버에 저장되기 때문에,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Web Broswer는 세션의 ID만 가지고 있습니다. 세션의 ID는 sid 라고 하는 식별자 입니다. 위의 특성 때문에 세션은 클라이언트 측에서 쉽게 위변조할 수 없습니다. 🎳 Session 모듈 설치

2020년 11월 2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ode.JS] Sequelize

Sequelize는 Mysql을 포함하여 많은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Promise 기반의 ORM입니다. Java 에서 Spring 같은 ORM 입니다. Sequelize의 장점은, 테이블 구조를 미리 정의해 두면, 없을 경우 알아서 만들어준다는 점이 제일 편리했던 것 같습니다. 🎐 설치 🎈 Sequelize 초기화 위 명령어를 사용하고 나면, 디렉토리에 많은 파일들이 생성되어 있을겁니다. 그 중, config/config.json 파일에는 DB 정보를 입력하는 파일입니다. 자신의 환경에 맞게 입력하시면 됩니다. ✨ Sequelize 테이블 정의하기 테이블의 구조를 정의하기 위해서, 앞으로 modele models 디렉토리 안에 파일을 추가할 겁니다. sequelize.define(객체(이름), 테이블 구조 정의, 테이블 설정)    → 위 내용을 사용하면 테이블의 구조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dataType

2020년 11월 21일
·
1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