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IP주소란?
- 라우터에서 IP주소 이해하기
전에 간단히 알아봤지만 이번에 더 자세히 알아보자! (8차시 참고)
TCP/IP 프로토콜을 만들 때 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모든 장비들을 구분해주기 위해서 만들어낸 것
IP 주소의 생김새를 알아보자
IP주소의 생김새 - 192.168.245.1
ㅤ
네 자리의 십진수로 되어있고 중간에 점을 하나씩 찍은 형태이다.
ㅤ
한 자리가 최소 0부터 최대 255가 된다. IP주소는 이진수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ㅤ
즉 여기서 10진수 한 자리는 이진수 8자리로 이루어져있고 이진수 8자리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수(11111111) 가 십진수로 255이기 떄문이다.
ㅤ
-> 우리가 만들 수 있는 IP주소의 갯수는 2의 32승(4,294,967,296)이다.
ㅤ
8차시 내용중 발췌..
현재는 인터넷의 사용자가 많아져 이 주소들을 거의 사용해 6%정도 남았다고 한다.
IP주소는 중요하니까 다음 차시에서 이어서 학습한다.
라우터를 세팅했을때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라우터의 포트를 이더넷 인터페이스
외부 즉 인터넷쪽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를 시리얼 인터페이스라고 생각하면 된다.
위와 같이 가정하면 우리가 라우터에 부여해야할 IP주소는 두 개가 된다.
하나는 이더넷 인터페이스에 부여, 하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부여한다.
여기서 이더넷용 IP주소는 우리가 내부에서 사용하기 위해 부여받은 IP주소 중 하나를 배정해야 한다.
예를들어 우리가 내부 PC용으로 부여받은 주소가 203.120.150.1 ~ 203.120.150.255 까지라면, 라우터는 보통 가장 맨 앞 주소인 203.120.150.1를 사용한다.
이 때 라우터에 부여된 IP주소는 또 다시 PC에 부여하면 안된다.
이는 우리 마음대로 부여할 수 없다.
라우터에 접속하는 상대편(ISP 업체) 라우터의 시리얼 인터페이스와 IP주소를 서로 맞추어야 한다.
라우터에서 인터페이스가 달라지면 그건 네트워크가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