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시스코 스위치가 맥 주소를 저장하는 방식
- 스태틱 맥 주소 세팅하기
전에 배운 대로 맥 주소는 스위치나 브리지가 출발지에서 돌아오는 맥 주소를 자신의 맥 주소 테이블에 저장한 후 그 주소 테이블에 있는 맥 주소를 찾으면 그 쪽 포트로만 보내고 나머지 포트는 막아 콜리전 도메인을 막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맥 주소를 배우고 저장하는 것은 스위치의 가장 큰 기능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대로 자동으로 배우는 방식으로 디폴트이다.
일단 맥 주소 하나를 배우면, 그것을 맥 주소 테이블에 저장하고 사용한다.
이 때 이 주소를 300초(디폴트)동안 다시 사용하지 않으면 용량을 위해 이 주소를 MAC 테이블에서 지운다.
위 방식과는 다르게 MAC 테이블에서 주소가 지워지지 않게 맥 주소를 저장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에는 사람이 수동으로 맥 주소를 넣어준다.
show mac-address-table
Catalyst 2950 스위치에서 맥 주소 테이블을 보는 명령어
항상 맥 주소 테이블에 저장되어 지워지는 일이 없는 주소.
예를 들어 서버나 고정 장비 등은 이렇게 스태틱으로 지정해 주면 시간이 지나도 지워지지 않고, 다시 이 맥 주소를 얻기위한 Learning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주소가 바뀌어도 자동으로 수정 불가능하고 맥 주소 테이블을 계속 사용하기 때문에 메모리가 낭비된다는 단점도 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는 그리 자주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Switch(config) #mac-address-table static mac-addr vlan vlan-id interface interface-id
일반 구성 보드에서 내리는 명령이다.
mac-address-table 명령 뒤에 static이라는 명령을 주고, 그 뒤에 스태틱으로 지정할 맥 주소를 입력한다.
맥 주소 뒤의 vlan은 이 맥 주소를 받아들인 쪽의 vlan이고,
interface는 이 맥 주소를 목적지로 갖는 주소가 들어오면 지금 지정해 준 인터페이스쪽으로 보낸다는 의미이다.
clear mac-address-table
현재 보이는 맥 주소 테이블을 지우는 명령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