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ive Java 41장 - 정의하려는 것이 타입이라면 마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라

well-life-gm·2021년 11월 5일
0

이펙티브 자바

목록 보기
2/3

아무 메서드도 담고 있지 않고, 단지 자신을 구현하는 클래스가 특정 속성을 가짐을 표시해주는 인터페이스를 마커 인터페이스(marker interface)라 한다.

Serializable 인터페이스가 가장 좋은 예이다. Serializable은 자신을 구현한 클래스의 인스턴스는 ObjectOutputStream을 통해 쓸 수 있고, 직렬화할 수 있다고 알려준다.

사진

위 사진과 같이 Serializable의 인터페이스를 보면 메소드가 하나도 없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구현해야 할 메소드도 없는 인터페이스를 왜 적을까?

마커 애너테이션(아이템 39)이 등장하면서 마커 인터페이스는 구식이 되었다고 했는데, 사실은 그렇지만은 않다고 한다.

마커 인터페이스가 마커 애너테이션에 비해 갖는 장점은 두 가지로 다음과 같다.

1. 마커 인터페이스는 이를 구현한 클래스의 인스턴스들을 구분하는 타입으로 쓸 수 있으나, 마커 애너테이션은 그렇지 않다.

  • 마커 인터페이스는 어엿한 타입이기 때문에, 마커 애너테이션을 사용했다면 런타임에야 발견될 오류를 컴파일 타임에 잡을 수 있다.
  • ObjectOutputStream.writeObject 메서드는 이 이점을 살리지 못했다고 한다. (실제로 런타임에 발생)

2. 마커 인터페이스는 적용 대상을 더 정밀하게 지정할 수 있다.

  • 적용 대상(@Target)을 ElementType.TYPE으로 선언한 애너테이션은 모든 타입(클래스, 인터페이스, 열거 타입, 애너테이션)에 달 수 있다. 즉, 부착할 수 있는 타입을 더 세밀하게 제한하지는 못한다는 뜻이다.
  • 특정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에만 적용하고 싶은 마커가 있다고 해보자. 그런데 특정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에만 적용하고 싶은 마커가 있다고 할 때, 이 마커를 인터페이스로 정의했다면 그냥 마킹하고 싶은 클래스에서만 그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면 된다. 그러면 마킹된 타입은 자동으로 그 인터페이스의 하위 타입임이 보장되는 것이다.

Set 인터페이스도 일종의 제약이 있는 마커 인터페이스로 볼 수 있다. Set은 Collection의 하위 타입에만 적용할 수 있으며, Collection이 정의한 메서드 외에는 새로 추가한 것이 없다.
몇몇은 Set을 마커 인터페이스로 생각하지 않는데, add, equals, hashCode 등 Collection의 메서드 몇 개의 규약을 살짝 수정했기 때문이다.
물론 Serializable 인터페이스는 ObjectOutputStream이 처리할 수 있는 인스턴스임을 명시하듯 아무 규약에도 손대지 않은 마커 인터페이스는 충분히 있을 수 있다.

반대로 마커 애너테이션이 마커 인터페이스보다 나은 점으로는 거대한 애너테이션 시스템의 지원을 받는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애너테이션을 주로 쓰는 프레임워크에서는 마커 애너테이션을 사용하는 편이 좋을 것이라고 한다.

구현을 할 때, "이 마킹이 된 객체를 매개변수로 받는 메서드를 작성할 일이 있을까?"라고 자문해보고, 만약 "그렇다"라면 마커 인터페이스를 쓰고, 그것이 아니라면 마커 애너테이션을 쓰는게 좋다고 한다.

핵심 정리
마커 인터페이스와 마커 애너테이션은 각자의 쓰임이 있다. 새로 추가하는 메서드 없이 단지 타입 정의가 목적이라면 마커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자. 클래스나 인터페이스 외의 프로그램 요소에 마킹해야 하거나, 애너테이션을 적극 활용하는 프레임워크의 일부로 그 마커를 편입시키고자 한다면 마커 애너테이션이 올바른 선택이다. 적용 대상이 ElementType.TYPE인 마커 애너테이션을 작성하고 있다면, 잠시 여유를 갖고 정말 애너테이션으로 구현하는 게 옳은지, 혹은 마커 인터페이스가 낫지는 않을지 곰곰히 생각해보자.

profile
내가 보려고 만든 블로그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