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에 winston-logger를 통해 log들을 파일에 저장해주었고, docker volume을 통해 file-beat로 파일을 감시하게 하여 kibana로 로그들을 확인하게 해주었다. 이번엔 그 중에 error-log들만을 Discord로 전송해주려 한다. Sla
기존에 우리서버의 에러 처리 방식은 Error객체로 해당 메세지만 front-end에게 보내주었다. 이렇게 문자열로 에러 메세지만 보내니, front-end에서는 해당 문자열을 일일히 해석하여 그에 맞는 처리를 해주어야 했다. 이 방식은 message 문자열을 실수로
저번 포스트에서 express에서 api와 에러등에 대해 winston 라이브러리로 로깅을 하는 법을 작성하였다.그 모든 api요청에 대해 소요시간을 계산하여 2초가 넘는 것들을 개선해주려고 한다. 그럴려면 api마다 모두 소요시간을 계산해서 로그에 찍어주어야 한다.e
이번엔 서버에서 발생하는 모든 요청,에러 등에 대한 log를 기록하는 logger를 만들어 보았다.winton - npm log를 기록하는데에 여러가지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지만, 다운로드 조회수도 많고 용량도 적은 winston을 사용하기로 하였다.logger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