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수타입은 총 5개로 아래 표와 같이 메모리 사용 크기와 저장되는 값의 범위가 서로 다르다.
| 타입 | 메모리 사용 크기 | 저장되는 값의 허용 범위 | |
|---|---|---|---|
| byte | 1byte, 8bit | ~ | -128 ~ 127 |
| short | 2byte, 16bit | ~ | -32.768 ~ 32.767 |
| char | 2byte, 16bit | ~ | 0 ~ 65535 (유니코드) |
| int | 4byte, 32bit | ~ | -2,147,483,648 ~ 2,147,483,647 |
| long | 8byte, 64byte | ~ |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
| 타입 | 메모리 사용 크기 | 저장되는 값의 허용 범위(양수) | 정밀도(소수점 이하 자리) |
|---|---|---|---|
| float | 4byte, 32bit | ~ | 7자리 |
| double | 8byte, 64bit | ~ | 15자리 |
자바는 실수 리터럴을 double로 인식해서 float 처리하고 싶다면 숫자 뒤에 f or F 붙여야함.
boolean isFlag = true;
boolean isFlag = false;
자바에서 소수점을 사용할 때, 부동소수점이라는 녀석 때문에 소수점을 아주 잘 사용해주어야 한다. 요것도 나중에 포스팅해보겠음.
ex) 0.1 x 100 != 10 -> 10의 근사치
참고로 String 은 참조 타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