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_상수와 변수

박정현·2022년 4월 3일
0

JS

목록 보기
1/1

상수

자료에 이름을 붙히는 것

특징

  1. 중복선언 불가능
    ex) const a = 10, const a = 55 <- 에러 발생

  2. 선언과 동시에 값을 할당해 주어야만 한다.
    ex) const a <- 에러 발생, 선언만 할 수 없음. const a = 10 <- 선언과 동시에 할당!

  3. 재할당을 할 수 없다.
    ex) const a = 10, a = 20 <- 에러 발생, 선언시 최초 할당만 가능!

변수

특징

  1. 중복선언 불가능
    ex) let b = 5, let b = 100 <- 에러 발생

  2. 재할당 가능
    ex) let b = 5, b = 100 (쌉가능)

  3. 선언만 하고 나중에 할당 가능
    ex) let b, b = 100 (쌉가능)

상수 > 변수

js에서는 상수를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습관을 들이자
변수는 꼭 사용해야만 하는 상황에서만 사용하자
왜 why?)
js는 인터프리터 언어로 컴파일 언어보다 속도가 기본적으로 느리다
변수보단 상수를 사용해주면 좀 더 성능을 개선할 수 있음

선언(정의),할당,초기화

선언

식별자를 상수 혹은 변수로 사용하겠다!

할당

식별자에 자료값을 주는 것
ex) a = 100 -> a라는 식별자에 100이라는 값을 할당

초기화

최초의 할당을 초기화라고 한다.

lvalue, rvalue

left value

넣는 놈, 넣는 바구니, 넣는 상자

right value

꺼내는 놈, 추출하는 놈

ex) let a = 10, let b = a
let b = a 에서 a는 10이라는 값을 꺼낸 다음 b에 넣는다.

profile
iDontKnowWhatToDo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