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페스타고는 인증을 구현할 때, 최소한의 정보로 안전하게 인증을 구현할 수 있는 OAuth2를 채택하였습니다.
OAuth2를 구현할 때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들은 매우 많습니다.
그중에서 저희가 선택한 OAuth2 제공자는 카카오톡
입니다.
카카오톡을 선택한 이유는 저희 서비스의 특성상 사용자 간의 티켓 거래를 막기 위함인데요.
구글이나 페이스북 등 쉽게 계정을 생성할 수 있는 서비스는 한 명의 사용자가 여러 계정을 통해 티켓을 예매할 수 있으므로, 국내에서 유일한 전화번호로 계정을 생성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자인 카카오톡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페스타고에서 구현한 OAuth2의 인증 플로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 방식은 Authorization Code Grant Type
라고 불리는 OAuth2 인증 방식의 종류 중 하나입니다.
해당 인증 방식은 사용자는 신뢰할 수 있는 OAuth2 인증 서버로 요청을 보내고, 인증 서버는 클라이언트(백엔드 스프링 서버)에 엑세스 토큰과 사용자 정보를 반환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엑세스 토큰과 사용자 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보안의 신뢰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방식을 어떻게 코드로 구현하였는지 설명하겠습니다.
코드로 구현할 클래스를 간략히 나타낸다면 한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SocialType
: Enum으로 OAuth2의 제공자를 나타냅니다. (ex: KAKAO)
AuthProvider
: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저희의 엑세스 토큰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합니다.
AuthExtractor
: 엑세스 토큰을 파싱하여 유효성을 검증하고 Payload의 값을 추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OAuth2Client
: OAuth2 인증, 리소스 서버로 요청을 보내고 엑세스 토큰, 사용자 정보 등 민감한 정보를 받는 역할을 합니다.
Member
: 사용자의 정보를 담고 있는 엔티티로, SocialType
을 필드로 가지고 있습니다.
AuthService
: 인증을 수행하는 서비스 레이어 클래스입니다.
여기서 OAuth2Client
는 외부 API에 의존하므로, 인터페이스로 만들어 테스트나 로컬 환경에서 모의 객체를 만들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public class JwtAuthProvider implements AuthProvider {
private static final int SECOND_FACTOR = 60;
private static final int MILLISECOND_FACTOR = 1000;
private static final String MEMBER_ID_KEY = "memberId";
private final SecretKey key;
private final long expirationMinutes;
public JwtAuthProvider(String secretKey, long expirationMinutes) {
this.key = Keys.hmacShaKeyFor(secretKey.getBytes(StandardCharsets.UTF_8));
this.expirationMinutes = expirationMinutes;
}
@Override
public String provide(AuthPayload authPayload) {
Date now = new Date();
return Jwts.builder()
.claim(MEMBER_ID_KEY, authPayload.getMemberId())
.setIssuedAt(now)
.setExpiration(new Date(now.getTime() + expirationMinutes * SECOND_FACTOR * MILLISECOND_FACTOR))
.signWith(key, SignatureAlgorithm.HS256)
.compact();
}
}
AuthProvider의 구현체인 JwtAuthProvider
입니다.
Member
엔티티의 PK를 Payload에 넣어 JWT 토큰을 반환해 줍니다.
해당 토큰은 앞으로 저희 서버에 인증 과정에 필요한 엑세스 토큰입니다.
public class JwtAuthExtractor implements AuthExtractor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MEMBER_ID_KEY = "memberId";
private final JwtParser jwtParser;
public JwtAuthExtractor(String secretKey) {
SecretKey key = Keys.hmacShaKeyFor(secretKey.getBytes(StandardCharsets.UTF_8));
this.jwtParser = Jwts.parserBuilder()
.setSigningKey(key)
.build();
}
@Override
public AuthPayload extract(String token) {
Claims claims = getClaims(token);
Long memberId = claims.get(MEMBER_ID_KEY, Long.class);
return new AuthPayload(memberId);
}
private Claims getClaims(String code) {
try {
return jwtParser.parseClaimsJws(code)
.getBody();
} catch (ExpiredJwtException e) {
throw new UnauthorizedException(ErrorCode.EXPIRED_AUTH_TOKEN);
} catch (JwtException | IllegalArgumentException e) {
throw new UnauthorizedException(ErrorCode.INVALID_AUTH_TOKEN);
}
}
}
AuthExtractor의 구현체인 JwtAuthExtractor
입니다.
토큰을 받아 AuthPayload
객체로 만들어 반환합니다.
참고로 필드로 JwtParser
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Jwts.parserBuilder()
메소드로 생성된 인스턴스는 불변하고, thread-safe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파싱할 때마다 인스턴스를 새롭게 만들지 않고, 기존의 인스턴스를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 파싱마다 새로운 인스턴스 생성
return Jwts.parserBuilder()
.setSigningKey(key)
.build()
.parseClaimsJws(code)
.getBody();
// 파싱마다 기존의 인스턴스 재사용
return jwtParser.parseClaimsJws(code)
.getBody();
@Component
public class KakaoOAuth2Client implements OAuth2Client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ACCESS_TOKEN_URL = "https://kauth.kakao.com/oauth/token";
private static final String USER_INFO_URL = "https://kapi.kakao.com/v2/user/me";
private final RestTemplate restTemplate;
private final String grantType;
private final String clientId;
private final String redirectId;
public KakaoOAuth2Client(
@Value("${festago.oauth2.kakao.grant-type}") String grantType,
@Value("${festago.oauth2.kakao.client-id}") String clientId,
@Value("${festago.oauth2.kakao.redirect-uri}") String redirectUri,
RestTemplateBuilder restTemplateBuilder
) {
this.grantType = grantType;
this.clientId = clientId;
this.redirectId = redirectUri;
this.restTemplate = restTemplateBuilder.build();
}
public String getAccessToken(String code) {
HttpHeaders headers = new HttpHeaders();
headers.set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FORM_URLENCODED);
headers.add("grant_type", grantType);
headers.add("client_id", clientId);
headers.add("redirect_uri", redirectId);
headers.add("code", code);
try {
KakaoAccessTokenResponse response = restTemplate.postForEntity(
ACCESS_TOKEN_URL, headers,
KakaoAccessTokenResponse.class).getBody();
return response.accessToken();
} catch (HttpClientErrorException e) {
KakaoOAuth2Error kakaoOAuth2Error = e.getResponseBodyAs(KakaoOAuth2Error.class);
if (kakaoOAuth2Error.isErrorCodeKOE320()) {
throw new BadRequestException(ErrorCode.OAUTH2_INVALID_CODE);
}
throw new InternalServerException(ErrorCode.INTERNAL_SERVER_ERROR, e);
}
}
public UserInfo getUserInfo(String accessToken) {
HttpHeaders headers = new HttpHeaders();
headers.set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FORM_URLENCODED);
headers.setBearerAuth(accessToken);
try {
KakaoUserInfo kakaoUserInfo = restTemplate.postForEntity(USER_INFO_URL, new HttpEntity<>(headers),
KakaoUserInfo.class)
.getBody();
return UserInfo.ofKakao(kakaoUserInfo);
} catch (HttpClientErrorException e) {
throw new InternalServerException(ErrorCode.INTERNAL_SERVER_ERROR, e);
}
}
public record KakaoOAuth2Error(
String error,
@JsonProperty("error_description") String errorDescription,
@JsonProperty("error_code") String errorCode
) {
public boolean isErrorCodeKOE320() {
return errorCode.equals("KOE320");
}
}
}
실제 카카오 OAuth2 서비스 제공자에게 정보를 요청하는 KakaoOAuth2Client
입니다.
코드에 지저분한 곳이 많고, 단일 책임 원칙을 지키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액세스 토큰 요청, 사용자 정보 요청)
추후 이 부분을 어떻게 개선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record에 @JsonProperty를 사용한 이유는 스택 오버플로우 링크에 나와 있습니다.
@Service
@Transactional
public class Auth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final OAuth2Client oAuth2Client;
private final AuthProvider authProvider;
public AuthService(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OAuth2Client oAuth2Client, AuthProvider authProvider)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this.oAuth2Client = oAuth2Client;
this.authProvider = authProvider;
}
public LoginResponse login(String code) {
String accessToken = oAuth2Client.getAccessToken(code);
UserInfo userInfo = oAuth2Client.getUserInfo(accessToken);
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SocialIdAndSocialType(userInfo.socialId(), userInfo.socialType())
.orElseGet(() -> memberRepository.save(userInfo.toMember()));
return new LoginResponse(authProvider.provide(member), userInfo.nickname());
}
}
컨트롤러에서 보내온 요청을 처리하는 서비스 클래스입니다.
흐름은 맨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코드를 받아, OAuth2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액세스 토큰을 얻고, 사용자 정보를 얻은 뒤 기존의 회원이 있으면 AuthProvider
를 통해 액세스 토큰을 반환하고, 기존의 회원이 없다면 orElseGet()
메서드를 통해 회원을 생성하고 액세스 토큰을 반환합니다.
이렇게 구현한 방식에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OAuth2Client
의 코드를 보면 단일 책임 원칙을 지키지 못했고(액세스 코드와 사용자 정보를 모두 관리) 요청을 보낼 때 예외를 처리하기 위한 try-catch문 때문에 코드의 가독성이 나쁩니다.
그리고 OAuth2Client
를 인터페이스로 정의하여 변경에는 유연하게 대응했지만, 단일 인스턴스이기 때문에 다른 OAuth2 서비스 제공자가 추가될 경우 새로운 클래스 혹은 메소드가 필요합니다.
유명한 객체 지향 원칙인 SOLID 원칙에서 S는 단일 책임 원칙을 뜻합니다.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며, 의존성 주입을 통한 OCP, DIP 원칙은 매우 쉽게 지킬 수 있으나, SRP 원칙은 구현하는 개발자가 객체가 가지는 책임을 얼마나 잘 구분할 수 있는지에 따라 달렸습니다.
OAuth2Client는 두 가지 일을 처리합니다.
1. 액세스 토큰을 요청
2. 사용자 정보를 요청
두 가지 일은 OAuth2 인증의 흐름으로는 하나의 작업으로 볼 수 있겠지만 객체가 가지는 책임은 두 가지 책임을 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엑세스 토큰만 요청하는 클래스와 사용자 정보만 요청하는 클래스로 나눠 설계할 수 있습니다.
@Component
public class KakaoOAuth2AccessTokenClient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URL = "https://kauth.kakao.com/oauth/token";
private final RestTemplate restTemplate;
private final String grantType;
private final String clientId;
private final String redirectUri;
public KakaoOAuth2AccessTokenClient(
@Value("${festago.oauth2.kakao.grant-type}") String grantType,
@Value("${festago.oauth2.kakao.client-id}") String clientId,
@Value("${festago.oauth2.kakao.redirect-uri}") String redirectUri,
@Value("${festago.oauth2.kakao.client-secret}") String clientSecret,
RestTemplateBuilder restTemplateBuilder
) {
this.grantType = grantType;
this.clientId = clientId;
this.redirectUri = redirectUri;
this.clientSecret = clientSecret;
this.restTemplate = restTemplateBuilder.build();
}
public String getAccessToken(String code) {
HttpHeaders headers = getAccessTokenHeaders(code);
return requestAccessToken(headers);
}
private HttpHeaders getAccessTokenHeaders(String code) {
HttpHeaders headers = new HttpHeaders();
headers.set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FORM_URLENCODED);
headers.set("grant_type", grantType);
headers.set("client_id", clientId);
headers.set("redirect_uri", redirectUri);
headers.set("client_secret", clientSecret);
headers.set("code", code);
return headers;
}
private String requestAccessToken(HttpHeaders headers) {
try {
KakaoAccessTokenResponse response = restTemplate.postForEntity(ACCESS_TOKEN_URL, headers,
KakaoAccessTokenResponse.class).getBody();
return response.accessToken();
} catch (HttpClientErrorException e) {
KakaoOAuth2Error kakaoOAuth2Error = e.getResponseBodyAs(KakaoOAuth2Error.class);
if (kakaoOAuth2Error.isErrorCodeKOE320()) {
throw new BadRequestException(ErrorCode.OAUTH2_INVALID_CODE);
}
throw new InternalServerException(ErrorCode.INTERNAL_SERVER_ERROR, e);
}
}
}
@Component
public class KakaoOAuth2UserInfoClient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URL = "https://kapi.kakao.com/v2/user/me";
private final RestTemplate restTemplate;
public KakaoOAuth2UserInfoClient(RestTemplateBuilder restTemplateBuilder) {
this.restTemplate = restTemplateBuilder.build();
}
public UserInfo getUserInfo(String accessToken) {
HttpHeaders headers = getUserInfoHeaders(accessToken);
return requestUserInfo(headers);
}
private HttpHeaders getUserInfoHeaders(String accessToken) {
HttpHeaders headers = new HttpHeaders();
headers.set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FORM_URLENCODED);
headers.setBearerAuth(accessToken);
return headers;
}
private UserInfo requestUserInfo(HttpHeaders headers) {
try {
KakaoUserInfo kakaoUserInfo = restTemplate.postForEntity(USER_INFO_URL, new HttpEntity<>(headers),
KakaoUserInfo.class)
.getBody();
return kakaoUserInfo.toUserInfo();
} catch (HttpClientErrorException e) {
throw new InternalServerException(ErrorCode.INTERNAL_SERVER_ERROR, e);
}
}
}
그리고 기존의 KakaoOAuth2Client
는 다음과 같이 코드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Component
public class KakaoOAuth2Client implements OAuth2Client {
private final KakaoOAuth2AccessTokenClient accessTokenClient;
private final KakaoOAuth2UserInfoClient userInfoClient;
public KakaoOAuth2Client(KakaoOAuth2AccessTokenClient accessTokenClient, KakaoOAuth2UserInfoClient userInfoClient) {
this.accessTokenClient = accessTokenClient;
this.userInfoClient = userInfoClient;
}
public String getAccessToken(String code) {
return accessTokenClient.getAccessToken(code)
}
public UserInfo getUserInfo(String accessToken) {
return userInfoClient.getUserInfo(accessToken);
}
}
이제부터 KakaoOAuth2Client
클래스는 책임을 분리한 클래스에 요청을 위임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아직도 여전히 추한 try-catch가 코드에 남아있습니다.
RestTemplate
클래스에서 발생한 예외를 처리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try-catch문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잠깐,
저희는 스프링을 사용하며 컨트롤러, 서비스 레이어에 try-catch를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예외를 처리하지 않고 던져버립니다.
그러는 이유는 요청의 예외를 전역적으로 처리해 주는 @ControllerAdvice
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RestTemplate
클래스에서도 @ControllerAdvice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클래스가 있습니다.
바로 ResponseErrorHandler
입니다.
ResponseErrorHandler
는 인터페이스로 다음과 같은 두 개의 추상 메소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public interface ResponseErrorHandler {
boolean hasError(ClientHttpResponse response) throws IOException;
void handleError(ClientHttpResponse response) throws IOException;
}
사실 이미 RestTemplate
에서는 기본적인 ResponseErrorHandler
가 등록되어 있습니다.
public class RestTemplate extends InterceptingHttpAccessor implements RestOperations {
...
private ResponseErrorHandler errorHandler = new DefaultResponseErrorHandler();
...
}
따라서 기존의 ResponseErrorHandler
를 사용하지 않고 커스텀한 에러 핸들러를 만들어 사용하면 예외 처리에 관한 로직을 분리할 수 있습니다.
public class KakaoOAuth2AccessTokenErrorHandler extends DefaultResponseErrorHandler {
@Override
public void handleError(ClientHttpResponse response) throws IOException {
try {
super.handleError(response);
} catch (HttpStatusCodeException e) {
HttpStatusCode statusCode = response.getStatusCode();
handle4xxError(statusCode, e);
handle5xxError(statusCode);
}
throw new InternalServerException(ErrorCode.INTERNAL_SERVER_ERROR);
}
private void handle4xxError(HttpStatusCode statusCode, HttpStatusCodeException e) {
if (statusCode.is4xxClientError()) {
KakaoOAuth2ErrorResponse errorResponse = e.getResponseBodyAs(KakaoOAuth2ErrorResponse.class);
handleErrorCode(errorResponse);
}
}
private void handleErrorCode(KakaoOAuth2ErrorResponse errorResponse) {
handleKOE320Error(errorResponse);
throw new InternalServerException(ErrorCode.OAUTH2_INVALID_REQUEST);
}
private void handleKOE320Error(KakaoOAuth2ErrorResponse errorResponse) {
if (errorResponse != null && errorResponse.isErrorCodeKOE320()) {
throw new BadRequestException(ErrorCode.OAUTH2_INVALID_CODE);
}
}
private void handle5xxError(HttpStatusCode statusCode) {
if (statusCode.is5xxServerError()) {
throw new InternalServerException(ErrorCode.OAUTH2_PROVIDER_NOT_RESPONSE);
}
}
public record KakaoOAuth2ErrorResponse(
String error,
@JsonProperty("error_description") String errorDescription,
@JsonProperty("error_code") String errorCode
) {
public boolean isErrorCodeKOE320() {
return Objects.equals(errorCode, "KOE320");
}
}
}
public class KakaoOAuth2UserInfoErrorHandler extends DefaultResponseErrorHandler {
@Override
public void handleError(ClientHttpResponse response) throws IOException {
HttpStatusCode statusCode = response.getStatusCode();
handle4xxError(statusCode);
handle5xxError(statusCode);
throw new InternalServerException(ErrorCode.INTERNAL_SERVER_ERROR);
}
private void handle4xxError(HttpStatusCode statusCode) {
if (statusCode.is4xxClientError()) {
throw new InternalServerException(ErrorCode.OAUTH2_INVALID_REQUEST);
}
}
private void handle5xxError(HttpStatusCode statusCode) {
if (statusCode.is5xxServerError()) {
throw new InternalServerException(ErrorCode.OAUTH2_PROVIDER_NOT_RESPONSE);
}
}
}
해당 에러 핸들러를 적용한 OAuth2Client는 다음과 같이 코드가 변경됩니다.
@Component
public class KakaoOAuth2AccessTokenClient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URL = "https://kauth.kakao.com/oauth/token";
private final RestTemplate restTemplate;
private final String grantType;
private final String clientId;
private final String redirectUri;
public KakaoOAuth2AccessTokenClient(
@Value("${festago.oauth2.kakao.grant-type}") String grantType,
@Value("${festago.oauth2.kakao.client-id}") String clientId,
@Value("${festago.oauth2.kakao.redirect-uri}") String redirectUri,
@Value("${festago.oauth2.kakao.client-secret}") String clientSecret,
RestTemplateBuilder restTemplateBuilder
) {
this.grantType = grantType;
this.clientId = clientId;
this.redirectUri = redirectUri;
this.clientSecret = clientSecret;
this.restTemplate = restTemplateBuilder
.errorHandler(new KakaoOAuth2AccessTokenErrorHandler())
.build();
}
public String getAccessToken(String code) {
HttpHeaders headers = getAccessTokenHeaders(code);
return requestAccessToken(headers);
}
private HttpHeaders getAccessTokenHeaders(String code) {
HttpHeaders headers = new HttpHeaders();
headers.set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FORM_URLENCODED);
headers.set("grant_type", grantType);
headers.set("client_id", clientId);
headers.set("redirect_uri", redirectUri);
headers.set("client_secret", clientSecret);
headers.set("code", code);
return headers;
}
private String requestAccessToken(HttpHeaders headers) {
KakaoAccessTokenResponse response = restTemplate.postForEntity(ACCESS_TOKEN_URL, headers,
KakaoAccessTokenResponse.class).getBody();
return response.accessToken();
}
}
@Component
public class KakaoOAuth2UserInfoClient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URL = "https://kapi.kakao.com/v2/user/me";
private final RestTemplate restTemplate;
public KakaoOAuth2UserInfoClient(RestTemplateBuilder restTemplateBuilder) {
this.restTemplate = restTemplateBuilder
.errorHandler(new KakaoOAuth2UserInfoErrorHandler())
.build();
}
public UserInfo getUserInfo(String accessToken) {
HttpHeaders headers = getUserInfoHeaders(accessToken);
return requestUserInfo(headers);
}
private HttpHeaders getUserInfoHeaders(String accessToken) {
HttpHeaders headers = new HttpHeaders();
headers.set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FORM_URLENCODED);
headers.setBearerAuth(accessToken);
return headers;
}
private UserInfo requestUserInfo(HttpHeaders headers) {
KakaoUserInfo kakaoUserInfo = restTemplate.postForEntity(USER_INFO_URL, new HttpEntity<>(headers),
KakaoUserInfo.class)
.getBody();
return kakaoUserInfo.toUserInfo();
}
}
이처럼 예외를 처리하는 책임을 가진 객체로 분리하여, 요청을 보내는 객체에는 예외를 처리하는 코드 하나 없이 오로지 비즈니스 로직만 남게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OAuth2Client
는 인터페이스입니다.
인터페이스로 설계하여, OAuth2 서비스 제공자가 바뀌더라도 쉽게 교체할 수 있고, 모의 OAuth2Client 객체를 만들어서 테스트할 때 외부 API의 연동 없이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도록 만들어도, 인스턴스의 필드가 하나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OAuth2Client를 사용하려면 서비스 제공자마다 서비스 클래스를 만들거나, 필드와 메소드가 생길 것입니다.
public class KakaoOAuth2Service{
...
};
public class NaverOAuth2Service{
...
};
// 또는
public class AuthService {
private final OAuth2Client kakaoOAuth2Client;
private final OAuth2Client naverOAuth2Client;
public void loginKakaoOAuth2(String code) {
...
}
public void loginKakaoOAuth2(String code) {
...
}
}
이것은 단일 책임 원칙을 지켰다고 할 수 있겠지만, 중복된 코드가 생기게 되고 새로운 서비스 제공자가 생길 때 새로운 메소드를 추가해 줘야 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나의 필드로 여러 OAuth2Client
를 사용할 수 있을까요?
스프링은 의존성을 주입할 때 컬렉션으로 의존성을 주입해 주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여러 OAuth2Client
를 List
형식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public class AuthService {
private final List<OAuth2Client> oAuth2Clients;
public AuthService(List<OAuth2Client> oAuth2Clients) {
this.oAuth2Clients = oAuth2Clients;
}
}
이것이 바로 인터페이스를 의존하게 하면 얻을 수 있는 강력한 이점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단순히 List 타입으로 받았다고 해서 끝나는 것은 아닙니다.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public OAuth2Client getClient(SocialType socialType) {
return oAuth2Clients.stream()
.filter(client -> client.getSocialType == socialType)
.findAny()
.orElseThrow(() -> BadRequestException(...));
}
이렇게 Stream을 활용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할 수 있겠지만, 매번 Stream을 사용하여 원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찾는 작업은 비효율적입니다.
이때는 List 자료구조를 사용하는 것 보다 Map 자료구조를 사용하면 효율적일 것입니다.
스프링은 Map 타입으로도 의존성 주입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Map으로 의존성을 주입받으면 Key가 String인 kakaoOAuth2Client
와 같이 지정됩니다.
private final Map<String, OAuth2Client> oAuth2ClientMap;
따라서 다음과 같이 의존성 주입은 List로 받은 뒤, 내부에서 Map으로 변환시키면 Key가 Enum 타입인 Map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ivate final Map<SocialType, OAuth2Client> oAuth2ClientMap = new EnumMap<>(SocialType.class);
public AuthService(List<OAuth2Client> oAuth2Clients) {
for (OAuth2Client oAuth2Client: oAuth2Clients) {
oAuth2ClientMap.put(oAuth2Client.getSocialType(), oAuth2Client);
}
}
이제 다음과 같이 특정 클라이언트를 빠르게 찾아올 수 있습니다.
public OAuth2Clients getOAuth2Client(SocialType socialType) {
return Optional.ofNullable(oAuth2ClientMap.get(socialType))
.orElseThrow(() -> new BadRequestException(...));
}
하지만 이것 또한 완벽하게 해결한 것은 아닙니다.
필드에 OAuth2Client
에 대한 자료구조가 그대로 노출이 되고 있습니다.
AuthService
클래스에서 필요한 기능은 SocialType에 맞는 OAuth2Client만 선택하는 것입니다.
AuthService
클래스는 Map에 대한 기능을 자세히 알 필요는 없습니다.
이것은 저희가 레벨1부터 배워온 방법을 사용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바로 일급 컬렉션
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Component
public class OAuth2Clients {
private final Map<SocialType, OAuth2Client> oAuth2ClientMap = new EnumMap<>(SocialType.class);
public OAuth2Clients(List<OAuth2Client> oAuth2Clients) {
for (OAuth2Client oAuth2Client: oAuth2Clients) {
oAuth2ClientMap.put(oAuth2Client.getSocialType(), oAuth2Client);
}
}
public OAuth2Client getClient(SocialType socialType) {
return Optional.ofNullable(oAuth2ClientMap.get(socialType))
.orElseThrow(() -> new BadRequestException(...));
}
}
그리고 AuthService
의 코드는 다음과 같이 변합니다.
@Service
@Transactional
public class AuthService {
private final OAuth2Clients oAuth2Clients;
...
public LoginResponse login(SocialType socialType, String code) {
OAuth2Client oAuth2Client = oAuth2Clients.getClient(socialType);
String accessToken = oAuth2Client.getAccessToken(code);
UserInfo userInfo = oAuth2Client.getUserInfo(accessToken);
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SocialIdAndSocialType(userInfo.socialId(), socialType)
.orElseGet(() -> memberRepository.save(userInfo.toMember()));
return new LoginResponse(authProvider.provide(member), userInfo.nickname());
}
}
이제 새로운 OAuth2Client가 추가되어도 기존의 코드를 변경할 필요는 전혀 없어집니다.
또한 로컬 환경 또는 테스트 환경을 위한 모의 OAuth2Client를 만들더라도 @Profile
어노테이션의 사용으로 운영 환경에서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Component
@Profile("!prod")
public class FestagoOAuth2Client implements OAuth2Client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PROFILE_IMAGE = "https://placehold.co/150x150";
private final Map<String, UserInfo> userInfoMap = new HashMap<>();
public FestagoOAuth2Client() {
userInfoMap.put("1", new UserInfo("1", getSocialType(), "member1", PROFILE_IMAGE));
userInfoMap.put("2", new UserInfo("2", getSocialType(), "member2", PROFILE_IMAGE));
userInfoMap.put("3", new UserInfo("3", getSocialType(), "member3", PROFILE_IMAGE));
}
@Override
public UserInfo getUserInfo(String accessToken) {
return Optional.ofNullable(userInfoMap.get(accessToken))
.orElseThrow(() -> new BadRequestException(...));
}
@Override
public SocialType getSocialType() {
return SocialType.FESTAGO;
}
}
OAuth2를 사용한 인증 기능을 구현할 때, 스프링이 제공하는 의존성 주입 기능과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다형성 활용 등, 객체 지향 설계를 따라 코드를 구현하면 변경에 유연하고 가독성이 높은 코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저희 서비스 특성상 새로운 OAuth2 서비스 제공자가 추가될 확률은 낮겠지만, 레벨 1, 2 과정을 배우며 습득한 객체 지향 설계 원칙을 이렇게 서비스에 녹여냈다는 점이 뿌듯한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