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을 ssh 때문에 고생했다. 내가 이해한걸 간단히 적어놓고
트러블 슈팅 과정을 적어놓으려고 한다.
우선 virtual box에는 네트워크가 2가지모드가 있다.
하나는 내가 기존에 사용했던 nat 모드다.
쉽게 말해 윈도우 pc의 인터넷을 그대로 쓴다.
따라서 접근할 때 윈도우를 통해서 가상머신에 접근하기 때문에 포트 포워딩이 한번 더 필요하다.
간단히 그림으로 표현하면 이런식이다.
공인ip -> 할당받은 내부 ip -> windowspc -> virtual box -> ubuntuserver 까지 도달해야하기 때문에 포트포워딩을 모두 맞춰주어야한다.
우분투 서버는 virtual box에서 할당받은 10.0.5.15인가 하는 ip가 따로있다.
두번째는 브리지모드이다.
이렇게 되어있다.
공유기에서 새로 할당받는 ip가 있기 때문에 ip가 사설ip로 존재한다.
이 둘은 간단해 보이지만 작업을 해보면 큰 차이가 있다.
우선 NAT모드는 루프백 기능이 없는 공유기에서는 외부 IP를 통해 SSH로 접속을 할 수 없다.
상황으로 말하자면
같은 WIFI를 사용해서 같은 공인IP를 사용한다면 SSH접속을 공인IP로 할수 없다는 것이다.
간단한 예시로 한 집에 내 방에서 화장실을 갈때 현관문으로 들어올수 없는거라고 생각하면 편할듯 하다.
브리지모드는 외부IP를 통한 접속이 가능하고, 내부에서는 포트포워딩이 필요없다. 내 방에서 그냥 나가서 화장실로 가면되는거고, 복도형 집에 공용 화장실 정도로 생각하면 편할거같다.
어쨋든 이 루프백 기능 때문에 내 SSH접속이 끊긴듯 하고 이거 때문에 개고생을 했다.
이걸 처음부터 알았으면 그냥 브리지모드를 사용할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