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React 함수 컴포넌트와 React Hook을 사용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useState와 useEffect가 예상치 못한 행동을 하는 경우를 만났다. 예를 들어...
useState에서 반환된 함수 setState()를 사용해 state를 변경한 다음 console.log(state)를 하면 변경 전의 값이 출력된다.
useState에서 반환된 함수 setState()를 연속으로 사용할 경우, 마지막으로 사용한 setState만이 반영된다.
가끔씩 useEffect 안에서 이전 state나 props 값을 참조한다.
컴포넌트가 마운트될 때만 사용하고 싶은 effect가 있어 useEffect에 deps(의존성 배열)로 []를 줬는데, linter가 경고를 날린다.
React Hook을 배울 당시 useState는 state 변수와 해당 변수를 갱신할 수 있는 함수를 만들어 주는 Hook, useEffect는 dep 안에 들어 있는 state들이 변할 때마다 effect를 실행해 주는 Hook, 정도로만 이해하고 넘어갔었다. 이제는 좀 더 깊은 이해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생각이 들어 포스팅을 작성하게 되었다.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useEffect를 먼저 알아본 뒤, useState로 넘어가도록 하자.
아주 좋은 가이드가 있어 이해가 빨랐다.
이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함수 컴포넌트가 동작하는 방식을 이해해야 한다.
React 함수 컴포넌트는 클로저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다시 말해,
컴포넌트 안에 있는 모든 함수(이벤트 핸들러, effect, effect의 클린업, setTimeout과 그 안에서 호출되는 API 등등...)는 렌더될 때 정의된 props와 state 값을 사용한다!
아래 예시를 보자.
function Counter()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useEffect(() => {
setTimeout(() => {
console.log(`You clicked ${count} times`);
}, 10000);
});
return (
<div>
<p>You clicked {count} times</p>
<button onClick={() => setCount(count + 1)}>Click me</button>
</div>
);
}
1초 간격으로 버튼을 5번 누르고, console에 메시지가 출력될 때까지 기다린다고 가정해 보자. 어떤 일이 일어날까?
1. 출력 시점의 count가 반영되어 'You clicked 5 times' 가 5번 출력된다.
2. setTimeout이 수행될 때의 count가 반영되어 'You clicked 1 times', 'You clicked 2 times' ... 가 출력된다.
클로저가 어떻게 작동하는 지 알고 있다면 답이 2라는 것을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렌더는 하나의 props와 state를 계속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마다 props와 state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좀 더 자세한 이해를 위해 위의 함수 컴포넌트가 마운트될 때 React, 컴포넌트, 브라우저 사이에서 일어나는 일을 요약해 보자면...
1. React는 컴포넌트에게 state가 0일 때 화면에 표시될 내용을 요청한다.
2. 컴포넌트는 <p>You clicked 0 times</p>
를 return한다. 동시에, 렌더링이 끝나고 () => {document.title = 'You clicked 0 times' }
라는 effect를 실행하라 전달한다.
3. React는 컴포넌트가 return한 내용에 맞추어 브라우저에게 DOM을 업데이트하라 지시한다.
4. 브라우저는 그에 맞추어 렌더링을 실행한다.
5. React는 컴포넌트가 전달해 준 effect를 실행한다.
버튼을 클릭할 때 일어나는 일을 요약해 보자면...
1. 컴포넌트는 setState()
를 사용해 React에게 state를 1로 변경해 달라고 요청한다.
2. React는 컴포넌트에게 state가 1일 때 화면에 표시될 내용을 요청한다.
3. 컴포넌트는 <p>You clicked 1 times</p>
를 return한다. 동시에, 렌더링이 끝나고 () => {document.title = 'You clicked 1 times' }
라는 effect를 실행하라 전달한다.
4. 브라우저는 그에 맞추어 렌더링을 실행한다.
5. React는 컴포넌트가 전달해 준 effect를 실행한다.
이러한 React의 동작 방식 때문에 useEffect가 과거의 props, state를 참조하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 발생했던 것이다.
무언가 의도하지 않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에 linter가 경고를 보낼 텐데, 과연 그 '의도하지 않은 현상' 이 뭘까?
타이머의 count를 1초 간격으로 1씩 증가시키려 하는 상황을 가정해 보자.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useEffect(() => {
const id = setInterval(() => {
setCount(count + 1);
}, 1000);
return () => clearInterval(id);
}, []);
겉보기에는 전혀 문제가 없어 보인다. 그러나 실제로 이 함수를 실행하면, count가 0에서 1로 딱 한 번 증가하고는, 계속 1에서 변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 섹션에 설명된 대로, React 함수 컴포넌트는 클로저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 코드에서 useEffect()
는 컴포넌트가 처음 렌더링될 때 단 한 번만 effect를 실행한다. 처음 렌더링될 때 count는 0이다. effect는 count = 0
을 기억하고 1초 간격으로 setCount(0 + 1)
을 수행한다...
deps에 effect에서 사용되는 모든 값을 적어넣지 않으면 의도치 않게 이와 같은 오류를 만들 확률이 높기에 linter가 경고를 보내는 것이다. 그럼 위 코드가 의도한 대로 작동하게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일단은 count를 deps에 넣어 보자.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useEffect(() => {
const id = setInterval(() => {
setCount(count + 1);
}, 1000);
return () => clearInterval(id);
}, [count]);
이러면 1초마다 count는 정상적으로 1씩 증가한다. 하지만 위 코드는 count가 바뀔 때마다 setInterval을 해제하고 다시 설정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기에 상당히 비효율적이고, 직관적이지도 않다. 함수 형태의 업데이터를 setState에 사용해 deps를 아예 사용하지 않는 형태로 effect를 바꾸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useEffect(() => {
const id = setInterval(() => {
setCount((c) => c + 1);
}, 1000);
return () => clearInterval(id);
}, []);
여기서 함수형 업데이터를 쓰는 방법 외에도 counter를 수정하는 여러 가지 예시를 볼 수 있다.
useRef()을 사용하면 effect가 실행된 렌더가 아니라 '현재' 렌더의 state나 props를 사용할 수 있다. 아래 코드를 실행하고, 1초 간격으로 5번 버튼을 클릭하면 'You clicked 5 times' 가 5번 출력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function Example()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const latestCount = useRef(count);
useEffect(() => {
// 변경 가능한 값을 최신으로 설정한다
latestCount.current = count;
setTimeout(() => {
// 변경 가능한 최신의 값을 읽어 들인다
console.log(`You clicked ${latestCount.current} times`);
}, 10000);
});
// ...
아래 코드를 실행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const [movie, setMovie] = useState("Avatar");
useEffect(() => {
console.log(movie);
setMovie("Star wars");
console.log(movie);
}, []);
'Avatar', 'Star wars'가 아니라, 'Avatar', 'Avatar' 가 출력된다. 위에서도 설명했듯 React 함수 컴포넌트는 클로저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일어난다.
setMovie()는 현재 렌더의 movie를 바꾸는 함수가 아니라, 다음 렌더의 movie 값을 바꾸는 함수다. setMovie 직후에 console.log(movie)
를 한다 해도, console.log()
함수는 현재 렌더의 movie 값, 즉 'Avatar'를 출력한다.
만약 특정 state가 바뀔 때마다 해당 state를 출력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useEffect를 사용해야 한다.
useEffect(() => {
console.log(movie);
}, [movie]);
아래와 같은 코드를 실행하면 화면에는 어떤 숫자가 나타날까?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2);
// ...
function someFunction() {
setCount(count * 3);
setCount(count - 1);
}
// ...
return <div>{count}</div>;
2 \* 3 - 1 = 5
가 나타나는 대신, 2 - 1 = 1
이 나타난다. setCount를 아무리 연속해서 사용해 보아도 맨 마지막으로 사용한 setCount만 적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act 내부적으로 setState()
함수는 비동기적으로 처리된다. setState()
를 사용할 시 React는 즉각적으로 새로운 state를 반영해 렌더링을 다시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은 setState()
를 큐 안에 보관한 다음, 다른 필요한 작업을 전부 처리하고 setState를 수행한다.
그런데 위에서 우리는 React 함수 컴포넌트는 클로저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는 사실을 배웠다. 위 예제에서는 count = 2로 설정되어 있으니,
setCount(count - 3);
에서 count가 2 - 3 = 6
으로 설정되고,
setCount(count - 1);
에서 count가 2 - 1 = 1
로 다시 설정되어, 결국 마지막 setCount만 반영되는 효과가 나오는 것이다.
함수 형태의 업데이터를 setCount에 전달해 주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코드를 사용하면,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2);
// ...
function someFunction() {
setCount((c) => c * 3);
setCount((c) => c - 1);
}
// ...
return <div>{count}</div>;
1. 큐 안에 setCount((c) => c * 3)
, setCount((c) => c - 1)
이 있다.
2. setCount((c) => c - 3)
이 처리되며 (c) => c - 3
이 큐 안으로 들어간다, 즉 큐 안에 setCount((c) => c - 1)
, (c) => c * 3
이 있게 된다.
3. setCount((c) => c - 1)
이 처리되며 (c) => c - 1
이 큐 안으로 들어간다, 즉 큐 안에 (c) => c * 3
, (c) => c - 1
이 있게 된다.
4. (c) => c * 3
이 처리된 후, (c) => c - 1
이 처리된다.
라는 과정을 거쳐, 5가 화면에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럼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는 어떤 결과가 나올 지 예상해 볼 수 있을까?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2);
// ...
function someFunction() {
setCount(count * 3);
setCount((c) => c + 3);
setCount(count - 1);
setCount((c) => c + 2);
}
// ...
return <div>{count}</div>;
1. 큐 안에 setCount(count * 3)
, setCount((c) => c + 3)
, setCount(count - 1)
, setCount((c) => c + 2)
이 있다.
2. 큐의 세 번째 항목인 setCount(count - 1)
이 실행되는 순간, 이전의 state가 어땠는지는 상관없이 count는 2 - 1 = 1
로 바뀐다.
3. setCount((c) => c + 2)
이 처리되며 (c) => c + 2
이 큐 안으로 들어간다, 즉 큐 안에 (c) => c + 2
이 있게 된다.
4. (c) => c + 2
가 처리된다.
따라서 3이 화면에 출력된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