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청과 응답
Web은 요청(request) 과 응답(response)의 구조로 되어있다. 브라우저HTTP 통신요청을 보내면 서버가 HTTP 응답을 한다.
그렇다면 사용자가 원하면 시간 날짜 장소 상관없이 웹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는 이유가 뭘까? 이유는 호스팅과 관련이 있다.!!
홈페이지의 구성파일들이(HTML, CSS, JS) 인터넷에 항상 연결되고, 절대 꺼지지 않는 웹 서버에 저장되어 있다가 사용자의 요청이 오면 언제든지 응답하는 것을 의미한다.
서버가 24시간 동작해야하기 때문에 서버 컴퓨터의 전체 또는 일정 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임대해 주는 호스팅 서비스를 사용해야한다.
그렇다면 사용자가 www.naver.com를 입력했을 때 브라우저는 어떤 컴퓨터가 사용자가 원하는 파일을 가지고 있는 서버인지 찾아가서 파일을 응답 받을까? 그 이유는 IP와 관련이 있다.!!
IP 구조
IP 주소는 인터넷으로 통신하는 각 device(컴퓨터, 통신장비)에 부여된 고유한 값이다.
인터넷상의 모든 컴퓨터는 숫자를 사용하여 서로를 찾고 통신한다.
그렇다면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이용할 때 이러한 IP주소를 하나하나 입력해서 웹사이트에 접속 해야 하나? 라는 의문이 든다. 그래서 이용하는 것이 Domain(도메인)이다.
DNS는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을 머신이 읽을 수 있는 IP주소로 변환해준다.
이름과 숫자 간의 매핑을 관리하여 마치 전화번호부 같은 기능을 한다.
DNS서버가 도메인 주소로 IP주소를 찾으려고 쿼리를 요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