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한 사항
입출력 예시
번호 | progresses | speeds | return |
---|---|---|---|
1 | [93, 30, 55] | [1, 30, 5] | [2, 1] |
2 | [95, 90, 99, 99, 80, 99] | [1, 1, 1, 1, 1, 1] | [1, 3, 2] |
입출력 설명
1
첫 번째 기능은 93%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1%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7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두 번째 기능은 30%가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30%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3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전 첫 번째 기능이 아직 완성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첫 번째 기능이 배포되는 7일째 배포됩니다.
세 번째 기능은 55%가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5%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9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7일째에 2개의 기능, 9일째에 1개의 기능이 배포됩니다
2
모든 기능이 하루에 1%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이 끝나기까지 남은 일수는 각각 5일, 10일, 1일, 1일, 20일, 1일입니다. 어떤 기능이 먼저 완성되었더라도 앞에 있는 모든 기능이 완성되지 않으면 배포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5일째에 1개의 기능, 10일째에 3개의 기능, 20일째에 2개의 기능이 배포됩니다.
function solution(progresses, speeds) {
let result = [];
let count = 1;
const days = progresses.map((progress, idx) =>
Math.ceil((100 - progress) / speeds[idx])
);//진도율에 따른 남은 시간을 days에 담아준다.
let prev = days[0];
for (let i = 1; i < days.length; i++) {
//=> 기준을 잡아서 비교하는 방식인데 이중 포문보다 더 효율적인듯하다. 앞으로 많이 써먹어야지 사실 이중 포문으로 풀려다가 잘안되고 비효율적인거 같아서 갈아 탓다.
let curr = days[i];
if (prev >= curr) {
count++;
} else {
result.push(count);
prev = curr;
count = 1;
}
}
result.push(count);
return result;
}
console.log(solution([93, 30, 55], [1, 30, 5]));=>[ 2, 1 ]
console.log(solution([95, 90, 99, 99, 80, 99], [1, 1, 1, 1, 1, 1]));=>[ 1, 3, 2 ]
console.log(solution([40, 93, 30, 55, 60, 65], [60, 1, 30, 5, 10, 7]));=>[1,2,3]
console.log(solution([93, 30, 55, 60, 40, 65], [1, 30, 5, 10, 60, 7]));=>[2,4]
console.log(solution([96, 99, 98, 97], [1, 1, 1, 1]));=>[4]
console.log(solution([99, 1], [1, 99]));=>[2]
느낀점 : 다음에는 이중포문을 말고 위의 방식을 이용해서 문제를 풀어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