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능 데이터 모델링 : 데이터베이스 성능 향상을 목적으로 설계단계의 데이터 모델링때부터 성능과 관련된 사항이 데이터 모델링에 반영 될수 있도록 하는 것
전제
- 데이터의 용량이 증가하고 기업의 의사결정이 빨라질수록 데이터를 처리하는 속도는 빨라져야한다.
- 어플리케이션의 처리속도가 느린 경우를 개발자가 짜놓은 sql문 때문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지만 원초적으로 디자인이 잘못되어서 그런 경우도 빈번하다.
참고 : 성능 데이터 모델링이 단순히 반정규화 만을 의미하지 않음을 주목해야 한다. 성능데이터 모델링은 정규화를 통해서도 수행 할수 있고 인덱스의 특징을 고려해서 칼럼의 순서도 변형할 수 있다. 또 대량의 데이터 특성에 따라 비록 정규화된 모델이라도 테이블을 수직 또는 수평 분할하고 논리적인 테이블을 물리적인 테이블로 전환 할때 데이터 처리의 성격에 따라 변환하는 방법도 성능 데이터 모델링의 범주에 포함 될 수 있다.
참조: 정규화(Normalization)와 반정규화(De-Norm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