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y of Type Theories등으로 나누는 이유는 적인지 아닌지 알기 위함. 피부색, 성격 등의 다른 것을 포용해야한다. 이를 diversity(다양성), 포용, 화합, 관용 등이라고 표현함.
이러한 인류의 기본 원칙이자 과제는 DEI. 기업도 마찬가지로 생존을 위해 고려해야한다.
나는 같지만 내가 응답하는 방식이 바뀐 것이다! 중요한 것은 진짜 나의 모습으로 응답해야한다. 솔직하게.
남들이 아는/모르는 나의 모습 x 내가 아는/모르는 나의 모습
Extraversion/Introversion, Sensing/iNuition, ..., Extra(시간, 공간, 관계)
수업자료 참고.
마지막에 ?를 생각한다! 라고 끝내야한다. 명확히 듣는사람에게 전달
무조건 다른 사람은 안바뀐다. 내가 바뀌어야 따라 바뀐다는 기본 원칙.
커뮤니케이션의 최대 요소는 내가 팔려고 하는 생각과 의도를 파는 것이다.
Objectives(Key Competency)
인간의 다양한 심리 상태에 대해 이해할 수 있음
나를 둘러 싼 다양한 구성원들 사이의 ???
???
Eric Burne / Sigmund Freud
Personality(성향)은 Id(본능적인 모습_욕구), Ego(현실에서의 나의 모습), SuperEgo(내가 되고 싶은 모습) 세가지로 이루어져 있고
그 뒤 지식, 역량, 태도 마지막이 행동이다.
성향<지식,역량,태도<행동
인간의 Ego에 대한 모델 PAC Model(First Order Structural Model) 시험
Parent: 5세 이전까지 뇌에 기억되어 저장된 외부 사건들의 집합체 ex. 낯선 사람 조심해, 밥먹을 때 폰하지마, 횡단보도 손들고 다녀 등의 기본적인 사회 규범, 틀
ㄴ Controlling Parent와 Nuruting Parent로 구분
Child:
ㄴ Adapted Child(상황에 맞게 적응)와 Free Child(좋은것만추구)로 구분
Adult: Parent모드로 관찰하고 Child모드에서 느낀 것을 평가하고 확인하는 과정 ex. 오늘 길에서 사고났는데 엄마가 조심하라는 말이 맞았구나..
준우 늦게들어왔으니 학점 B야? == NC
김준우 너 B야 == NP
자꾸 까불면 C 줄거야 == PC
시간을 잘 지킵시다 == P
그냥 좀 닥처라 == C
교수로서 시간을 잘 지킵시다 == A
PAC이론에서 관계가 평행을 이루면 갈등을 이루지 않는다.

평행을 이루지 않으면 불편해지는데 이해를 잘못했거나, 의도가 다르거나, 교육이 안됐을지도
Life Position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스. 말을 어떤 매개체로 전달할 것인가? 말을 편지로 하니 오해 발생
High Context vs Low Context
Transaction Analysis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