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로 termux 를 사용하는 경우는 게임을 해본다기보다는 개발자로 취미생활 or 본업을 위해 사용을 한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본업은 외부에서 접속이 되는 상황은 아니고
취미생활로 termux를 사용하려는 부류이다.
다만...가정의 평화 and 소비성향이 맞물려... tablet이 다소 저사양의 제품을 가지고있다.(SM-P200)
처음에는 해당 기기에 termux를 설치하여 장난을 치려 했으나.. 용량압박 및 성능부족으로 장난감으로 활용하기는 어려웠고
본업에서 회의 및 필기용도로만 활용하였다.
그러다... 대다수가 그렇겠지만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다소 고사양을 사용하고, 필자도 약간 old하지만 S21을 사용하고 있다.
여기에 termux를 설치하고 ssh or code-server를 통해 활용하면 용량은 물론 성능의 압박도 피할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다.
현재 생각보다는 유의미하게 활용이 가능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termux에 code-server를 설치하는 법을 여러가지로 검색하고 결국 현시간 기준으로는 pkg install로 하는것이 간편하고 확실하게 동작한다고 생각한다.
개인의 정보저장용도이나 필요한 사람이 있을수 있다고 생각해 작성한다.
termux는 0.118 을 사용하였다.
설치후
termux-change-repo
본인은 grimler 를 선택함
pkg update
pkg upgrade -y
기본 update
termux-setup-storage
ssh 설치
pkg install openssh
pkg install openssh-tool
다른 폰은 모르겠으나 본인의 스마트폰에서는 ifconfig를 사용해
192.0.0.4라는 ip주소를 확인할수있었다.
대체로 wifi 모델의 경우에는 테더링을 사용할 것으로 생각한다.
테더링을 통해 접속하면 이런 내부 ip로 ssh 및 code-server 접속이 가능했다.
ssh의 경우
whoami
명령어를 통해 접속에 필요한 id를 알수있었고
passwd
를 통해 임호설정을 해서 password로 사용할수있었다


위 그림과 같이 setting을 통해서 ssh 접속은 가능했다.(그전에 host(스마트폰에서 'sshd'라고 명령하여 ssh를 실행해둔 상태)
아래는 기본적으로 설치.. 또는 개인이 필요로 했던 설치들이다.
개발에 필요한 기본적인 etc.
pkg install build-essential
사실 이건 어떤 용도인지 모르겠지만...
pkg install termux-keyring
python, git, nano 설치
pkg install python git nano
rust 설치(그냥 이거 하나면 기본적인 rust tool은 다 설치되는듯... )
pkg install rust
code-server설치 (위에줄은 어떤 의미인지 모르지만 해당 install 이후에 code-server를 설치하면 정상적으로 설치되었음
pkg install tur-repo
pkg install code-server
이후에 개인적으로는 실행의 용이함을 위해 sh파일을 ~위치에 생성하였다
nano init.sh
해당 내용은 아래처럼 채워두었다.
#!/bin/bash
pkg update
pkg upgrade -y
code-server --bind-addr 0.0.0.0:8080 --cert --disable-telemetry &
sshd
해당 파일을 저장후
bash init.sh
해당 명령을 하면 자동으로 code-server와 ssh를 실행한다.
이후 테블릿을 테더링으로 연결후 code-server는 아래 주소로 접속한다.(안전하지 않은 페이지라고 나오나, 내부 테더링 접속이어서 문제삼지 않고 접속한다.
그리고 즐겁게 code-server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