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DFS & BFS

0Kim_jae·2023년 3월 9일
0

알고리즘

목록 보기
3/10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 DFS / BFS

  • 탐색(Search)란 많은 야의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과정을 말한다.
  • 대표적으로 DFS / BFS가 있다.

BFS/ DFS를 알기전 스택과 큐 자료구조에 대헤 이해하면 도움이 된다.

스택(Stack)과 큐(Queue) 자료구조

  • 후입선출 (Last-in-First-out)로 이루어지는 자료구조이다
  • 입구와 출구가 동일한 박스 쌓기라 생각하면 편하다.

  • 스택 자료구조
    파이썬에서 쉽게 스택 자료구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list를 사용하여 append() 통하여 데이터를 삽입하고, pop()을 통하여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다른 라이브러리를 불러오지 않아도 된다.

  • 큐 자료구조
    머저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나가는 (First-in-First-out)자료구조를 가진다.
    터널에 데이터가 들어와 나간다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파이썬 에서는 deque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큐 자료구조를 이용하고 삽입시에는 append(), 삭제할 때에는 popleft()를 사용하면 된다. quue는 스택과 큐의 장점을 합친 라이브러리이다.

재귀함수 (Recursive Function)

  • 재귀함수란 자기 자신을 다시 호출하는 함수를 의미한다.
# '재귀 함수를 호출합니다.'를 무한 반복하는 함수 
def recursive_function():
	printt('재귀 함수를 호출합니다.')
    recursive_function()

recursive_function()
  • 재귀 함수를 사용할 때에는 종료 조건을 명시하지 않으면 함수가 무한히 호출 될 수 있기 때문에 종료조건을 반드시 명시해야 한다.
# '재귀 함수를 호출합니다.'를 무한 반복하는 함수 
def recursive_function(i):
	# 100 번째 호출을 했을 때 종료 되도록 조건 추가
    if i==100:
    	return
	printt(i, '번째 재귀 함수에서', i+1, '번째 재귀함수를 호출 합니다.')
    recursive_function(i+1)
    printt(i, '번째 재귀함수를 종료합니다.')

recursive_function()
  • 재귀함수 예제 (팩토리얼 구현하기
def factorial_recursive(i):
	if i <=1:
    	return 1
    # n! = n * (n-1)!를 그대로 코드로 작성하기
    return n * factorial_recursive(n-1)

재귀 함수를 잘 활용하면 복잡한 알고리즘을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재귀 함수는 반복문을 활용하여 동일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가 함수를 연속적으로 호출하는 경우 컴퓨터 메모리 내부의 스택 프레임에 쌓여, 스택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구현상 스택 라이브러리 대신에 재귀 함수를 이용 하는 경우가 많다.

DFS는 깊이 우선 탐색이라고도 부르며 그래프에서 깊은 부분을 우선적으로 탐색하는 알고리즘이다.
DFS는 스택 자료구조(혹은 재귀함수)를 이용하며,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 탐색 시작 노드를 스택에 삽입하고 방문처리를 한다.
  • 스택의 최상단 노드에 방문하지 않은 인접한 노드가 하나라도 있다면 그 노드르 스택에 넣고 방문 처리합니다. 방문하지 않은 인접 노드가 없으면 스택에서 최상단 노드를 꺼냅니다.
  • 더 이상 2번의 과정을 수행할 수 없을 때까지 반복합니다.
    다음과 같은 그래프가 있다고 할때 DFS를 파이썬으로 구현 보면서 이해하면 쉽다. (방문 기준: 번호가 낮은 인접노드 부터)
# 코드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7C9RgOcvkvo&list=PLRx0vPvlEmdAghTr5mXQxGpHjWqSz0dgC&index=3

# DFS 메서드 정의
 #그래프 array, 시작 위치, 방문 정보가 들어있는 리스트
def dfs(graph, v, visited): 
	# 현재 노드를 방문 처리
    visited[v] = True
    print(v, end=' ')
    # 현재 노트와 연결된 다른 노드를 재귀적으로 방문
    for i in graph[v]:
    	if not visited[i]: # grqph[i]에 있는 원소가 방문되어 잇지 않다면 재귀함수 호출
			dfs[graph, v, visited)
            
            
# 각 노드가 연결된 정보를 표현 (2차원 리스트)
graph = [
	[],
    [2,3,8], # 1번 노트와 연결된 정보
    [1,7], # 2번 노드와 연결된 정도
    [1,4,5],
    [3,5],
    [3,4],
    [7],
    [2,6,8],
    [1,7]
]

# 각 노드가 방문된 정보를 표현
visited = [False] * lend(graph)

# 정의된 DFS 함수 호출
dfs(graph, 1, visted)

# 출력 (1 2 7 8 3 4 5)

BFS는 너비 우선 탐색이라고도 부르며, 그래프에서 가까운 노드부터 우선적으로 탐색하는 알고리즘입니다.
BFS는 큐 자료구조를 이요하며,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 탐색 시작 노드를 큐에 삽입하고 밤문처리를 한다.

  • 큐에서 노드르 꺼낸 뒤에 해당 노드의 인접 노드 중에서 방문하지 않은 노드를 모두 큐에 삽입하고 방문 처리한다.

  • 더이상 뒤 위 과정을 수행할 수 없을 때까지 반복한다.


    다음과 같은 그래프가 있다고 할때 BFS를 파이썬으로 구현 보면서 이해하면 쉽다 (방문 기준: 번호가 낮은 인접노드 부터)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 BFS 함수 정의
def bfs(graph, start, visited):
	# 큐(Queue) 구현을 위해 deque 라이브러리 사용
	queue = deque([start])
    # 현재 노드를 방문 처리
    visited[start] = True
    # 큐가 빌 때까지 반복
    while queue:
    	# 큐에서 하나의 원소를 뽑아 출력하기
        v = queue.popleft()
        print(v, end=' ')
        # 아직 방문하지 않은 인접한 원소들을 큐에 삽입
        for i in graph[v]:
        	if not visited[i]:
            	queue.append(i)
                visited[i] = True
                
  
# 각 노드가 연결된 정보를 표현 (2차원 리스트)
graph = [
	[],
    [2,3,8], # 1번 노트와 연결된 정보
    [1,7], # 2번 노드와 연결된 정도
    [1,4,5],
    [3,5],
    [3,4],
    [7],
    [2,6,8],
    [1,7]
]

# 각 노드가 방문된 정보를 표현
visited = [False] * lend(graph)

# 정의된 DFS 함수 호출
dfs(graph, 1, visted)

# 출력 (1 2 3 8 7 4 5 6)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