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뉴스 클러스터링

GomHyeok·2022년 4월 26일
0

📒활용개념

  1. string의 대소문자 변환
  2. map과 pair의 활용

📌문제설명

여러 언론사에서 쏟아지는 뉴스, 특히 속보성 뉴스를 보면 비슷비슷한 제목의 기사가 많아 정작 필요한 기사를 찾기가 어렵다. Daum 뉴스의 개발 업무를 맡게 된 신입사원 튜브는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다양한 뉴스를 찾아볼 수 있도록 문제점을 개선하는 업무를 맡게 되었다.

개발의 방향을 잡기 위해 튜브는 우선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카카오 신입 개발자 공채" 관련 기사를 검색해보았다.

  • 카카오 첫 공채..'블라인드' 방식 채용
  • 카카오, 합병 후 첫 공채.. 블라인드 전형으로 개발자 채용
  • 카카오, 블라인드 전형으로 신입 개발자 공채
  • 카카오 공채, 신입 개발자 코딩 능력만 본다
  • 카카오, 신입 공채.. "코딩 실력만 본다"
  • 카카오 "코딩 능력만으로 2018 신입 개발자 뽑는다"

유사한 기사를 묶는 기준을 정하기 위해서 논문과 자료를 조사하던 튜브는 "자카드 유사도"라는 방법을 찾아냈다.

자카드 유사도는 집합 간의 유사도를 검사하는 여러 방법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두 집합 A, B 사이의 자카드 유사도 J(A, B)는 두 집합의 교집합 크기를 두 집합의 합집합 크기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집합 A와 집합 B가 모두 공집합일 경우에는 나눗셈이 정의되지 않으니 따로 J(A, B) = 1로 정의한다.

자카드 유사도는 원소의 중복을 허용하는 다중집합에 대해서 확장할 수 있다. 다중집합 A는 원소 "1"을 3개 가지고 있고, 다중집합 B는 원소 "1"을 5개 가지고 있다고 하자. 이 다중집합의 교집합 A ∩ B는 원소 "1"을 min(3, 5)인 3개, 합집합 A ∪ B는 원소 "1"을 max(3, 5)인 5개 가지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문자열 사이의 유사도를 계산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문자열 "FRANCE"와 "FRENCH"가 주어졌을 때, 이를 두 글자씩 끊어서 다중집합을 만들 수 있다. 각각 {FR, RA, AN, NC, CE}, {FR, RE, EN, NC, CH}가 되며, 교집합은 {FR, NC}, 합집합은 {FR, RA, AN, NC, CE, RE, EN, CH}가 되므로, 두 문자열 사이의 자카드 유사도 J("FRANCE", "FRENCH") = 2/8 = 0.25가 된다.

출력형식
입력으로 들어온 두 문자열의 자카드 유사도를 출력한다. 유사도 값은 0에서 1 사이의 실수이므로, 이를 다루기 쉽도록 65536을 곱한 후에 소수점 아래를 버리고 정수부만 출력한다.

📌구현

#include <string>
#include <algorithm>
#include <vector>
#include <map>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long long solution(string str1, string str2) {
    int long long answer = 0;
    //집합 str1의 원소의 종류와 각각의 개수
    map<string, int> m1;
    //집합 str2의 원소의 종류와 각각의 개수
    map<string, int> m2;
    //공집합의 원소의 개수
    int inter=0;
    //합집합의 원소의 개수
    int uni=0;
    double d;
    
    //모두 대문자로 변환
    transform(str1.begin(), str1.end(), str1.begin(), ::toupper);
    transform(str2.begin(), str2.end(), str2.begin(), ::toupper);
    
    //str1을 2개의 문자씩 묶어서 map에 저장한다.
    for(int i=0; i<str1.size()-1; i++){
        string tmp="";
        tmp+=str1[i];
        tmp+=str1[i+1];
        if(str1[i]<'A'||str1[i]>'Z'){
            continue;
        }
        else if(str1[i+1]<'A'||str1[i+1]>'Z'){
            i++;
            continue;
        }
        else{
            if(m1.find(tmp)!=m1.end()){
                m1[tmp]++;
            }
            else{
                m1[tmp]=1;
            }
        }
    }
    
    //str2의 문자를 2개씩 묶어서 map에 저장한다.
    for(int i=0; i<str2.size()-1; i++){
        string tmp="";
        tmp+=str2[i];
        tmp+=str2[i+1];
        if(str2[i]<'A'||str2[i]>'Z'){
            continue;
        }
        else if(str2[i+1]<'A'||str2[i+1]>'Z'){
            i++;
            continue;
        }
        else{
            if(m2.find(tmp)!=m2.end()){
                m2[tmp]++;
            }
            else{
                m2[tmp]=1;
            }
        }
    }
    
    //m1의 원소가 m2에 있는지 확인한다.
    for(auto itr : m1){
        //공통 원소인 경우
        if(m2.find(itr.first)!=m2.end()){
            inter+=min(m2[itr.first], itr.second);
            uni+=max(m2[itr.first], itr.second);
        }
        //공통 원소가 아닌 경우 합집합의 개수에 더해준다.
        else{
            uni+=itr.second;
        }
    }
    
    //m2의 원소가 m1에 있는지 확인한다.
    for(auto itr : m2){
    	//공통 원소가 아닌 경우 합집합의 개수에 더해준다.
        if(m1.find(itr.first)==m1.end()){
            uni+=itr.second;
        }
    }
	
    //두 가지 중 하나라도 0개인 경우
    if(inter==0&&uni==0){
        d=1;
    }
    else{
        d=(double)inter/uni;
	}    
    
    answer=d*65536;
    
    return answer;
}

📌주의점

  • 두 string에서 문제에 해당하는 집합을 어떻게 뽑을 것인가.
  • 두 집합에서 공집합과 합집합의 개수를 어떻게 구할 것인가.

위의 두 사항이 문제의 가장 핵심이다. 나는 첫 번째 조건을 위해서 map을 사용하여 다중 집합의 문제를 해결하였고, 각각의 집합의 원소를 다른 집합에 있는지 확인하며 공집합과 합집함의 개수를 구하였다.

profile
github : https://github.com/GomHyeok/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