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K-Digital 교육 (한국SW산업협회 주관) 에서 배운 내용을 제멋대로 정리해보는 공간입니다.
모든 오류 지적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튜플(tuple)은 소괄호('('와')')를 이용해 생성
- 튜플은 읽기 전용
- 속도가 빠르며, 수정이 필요 없는 배열 형태의 데이터 타입에 사용
- 데이터를 수정할 수 없기 때문에 제공되는 함수가 많지 않음
- tupleData = () : 튜플 생성
- len(tupleData) : 튜플 항목의 수를 반환
- min(tuple), max(tuple) : 최솟값 최댓값 반환
- tupleData.count(value) : 튜플에서 value의 갯수 반환
- tuple.index(value, position) : 튜플에서 value 있는 인덱스 반환
- 키와 값의 쌍으로 구성된 자료 구조
- 키는 유일해야 함.
- 키에 리스트는 사용불가 ❌ , 튜플 타입은 사용할 수 있음
- 값은 중복이 가능하며 모든 타입이 가능
- 키 목록에 없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참조하면 에러가 발생, 인덱스를 이용한 참조는 지원안함 ❌
- 키는 대소문자를 구분 ⚠️
- dictData = {"key":"value", ...} : 딕셔너리 생성
- len(dictData) : 항목의 수 반환
- dictData.items() : 딕셔너리의 각 항목들을 (key, value)형식의 튜플들로 반환
- dictData.keys() : 키들을 반환
- dictData.values() : 값들을 반환
키값 활용해서 데이터 삭제하기 예시
del dataDict["key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