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컴퓨터가 연결된 네트워크 끝단의 주소
기기가 인터넷에 접속한 곳의 네트워크상 위치
IP는 변할 수 있음!
ex) 노트북을 집 와이파이로 할때와 카페에서 할 때,
but ! 위치가 안바뀌어도 변할 수 있음
IP는 IPv4규약을 따르고 있음
IPv4는 0~255까지의 숫자 4개가 이어진 256의 4제곱의 갯수만큼 IP를 가질 수 있음
그러면 4,294,967,296개의 IP가 IPv4 에서 나오는데,
약 43억개
전세계 인구가... 60억이 넘고 1인 컴퓨터,노트북,휴대폰 만 해도 최소3개라
IP가 부족함!
그래서 이걸 해결하기위하여!!!!
공인 IP 와 사설 IP 가 있는데
주소로 비유를 들어주자면
서울특별시 개발구 코딩로 구로아파트 101동 202호
라는 주소가 있다면
"서울특별시 개발구 코딩로 구로아파트" 까지가 공인IP 부분
"101동 202호" 부분이 사설IP 라고 볼 수 있음
이렇게 비유해주니까 이해가 확 되어서 좋은거 같음!
한 집에서 4인가족이 총 10대의 IP를 받는 기기를 이용한다고 할 때,
공인IP 1개를 이용하여 그 1개로 사설IP를 만들어 한 집안에서 사용하는 IP를 1개로 줄이는 거임
IP주소가 이 숫자 범위에 있다면 그건 사설IP를 사용하고 있는거임
알아둬야 할건 사설IP를 사용하는 컴퓨터나 핸드폰으로 공인IP를 사용하는 서버 등의 다른 컴퓨터
로는 접근 가능하지만, 다른 컴퓨터에서는 사설IP로 접속 할 수 없음!
사설 IP에서 웹사이트 같은걸 돌릴려고 할 때,
한국에는 1억개정도의 고정IP주소가 할당되어있는데,
이걸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제공업체들이 나눠주는건데
서버의 경우 IP가 계속 바뀌면 곤란하기 때문에 고정IP를 사용하고(비쌈)
일반 가정이나 기기들은, 주기적으로 IP를 회수해서 인터넷을 사용중인 곳에만 나눠주는
유동 IP방식을 사용 한다고 함
유동IP는 바뀌니까 오히려 고정IP보다 보안쪽으로는 안전할 수 있음!
오 그래서 결국 유동IP로 가정에서 웹서버를 운영하면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웹사이트나 NAS 등을 운영하려면 여기에 추가적인 조치를 취하게 되는데
DDNS (Dynamic DNS) 를 이용하여
유동 IP 변경을 감지하여 연결 시켜주는 기능?
공유기 설정에서 할 수 있다고 함
그래서 포트포워딩과 DDNS를 이용하면 가정 이나 개인이 가벼운 웹사이트나 NAS는 운영이 가능
그리고 IPv4는 갯수가 곧 바닥 나기에, 현재 점점 규모를 늘려가고있는 IPv6
16진수 4자리가 8개 이어진 형태
와 근데 얄코 설명 개 쉽게해줘서 기분좋아짐
출저 얄코유튜브 : https://www.youtube.com/watch?v=GK3h936C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