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VN(2) - 서버 셋팅

김재범·2023년 2월 26일
0

SVN

목록 보기
2/4

설치 📃

  1. VisualSVN Server (OS에 맞게 설치)

  2. VisualSVN Server - Setup

  • Next 누른다

  1. Lisense Agreement
  • 동의하고 Next 누른다

  1. Select Components
  • Next 누른다

  1. Initial Server Configuration

  • location : VisualSVN Server가 설치될 장소
  • Repositories : Repo들이 들어 있는 장소
  • Server Port : 통신할 포트번호 (기본은 https의 443포트지만 사용하고 있거나, 사용할 예정이라면 다른 걸 막 만들어서 써도 됨 근데 그러면 url 뒤에 포트를 명시해줘야함, 443은 할 필요 x)
  • Backups : 백업 파일들이 들어있는 곳

아마 회사라면 location은 devtool들을 모아놓은 C:\dev\VisualSVN Server\로 설정할 것이고 Repositories는 D:\Repositories\로 만들 것 같음


  1. Search Indexing Configuration
  • 뭐 공식문서에 따르면

Consider enabling the full-text search feature that allows finding files with the specified content in the web interface. To enable the full-text search capabilities, you have to enable search indexing for repositories.

막 이렇게 적혀있는데 무시하고 Next를 누르자 (만약 Search indexing 허용하면 45일만 공짜로 쓰고 나중에 돈 내야함..)


  1. Authentication Mode
  • Use Subversion authentiaction을 체크하자 (만약 windows authentication을 사용하낟고 하면 이것도.. 6번과 같은 이유로 돈 내야함)

  1. Ready to Install
  • 설치ㄱ

Serverside Repository 생성 🏃‍♂️

❗ 아마 회사 내에서 발급해 준 Server Repository가 있을 것이다. 없을 시에는 이렇게 만들면 됨

  1. Repository 생성
  • Sidebar의 Repositories를 우클릭하면 Create new Repository를 누르자

  • Regular FSFS repository를 선택하고 Next

  • Repository name을 설정하고 Next

  • Empty repository를 선택하고 Next

  • All Subversion users have Read/Write access를 선택하고 Next

  • Allow search indexing of this repository(현재 Test repo를 찾을 수 있도록)를 선택하고 Create

  • 이제 Repository URL로 다른사람과 협업이 가능한 서버 Repo가 생성되었다

사용자 계정 생성 🤷‍♂️

❗ 위에 서버랑 마찬가지로 회사에서 만들어 준 사용자 계정이 있을 것이다. 즉 그 계정은 서버로 부터 Repo 접근 권한(Read/Write)을 받은 것이고 우리는 받은 계정을 토대로 Server Repository URL과 연결해서 Server Repo에 접근하면 됨

❗ 만약 받은 계정이 없으면 Server에서 사용자를 만들어 줘야함

  1. 사용자 생성

  • Sidebar의 Users 우클릭해서 Create New User를 함
  • 이 계정의 User name과 Password를 통해서 Server Repo를 이용할 수 있음
  • Password 같은 경우 대/소문자 구분이 가능해서 잘 해줘야함
profile
미래의 아들에게 전해 줄 나의 이야기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