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보드만 사용해서 웹사이트를 탐색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기능
일반적으로 Tab, Enter, Space, Arrow(←↑→↓), ESC 키 등을 사용해서 웹사이트의 요소를 이동하고 조작할 수 있어야 함.
웹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마우스를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키보드만으로 사이트를 문제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게 중요함.
- input이나, button에 focus 추가
- 특정 요소를 키보드 탐색이 가능하도록 초점(Tab 이동 순서)을 부여하거나 제외할 수 있음
- 스크린 리더가 읽지 않아야 하는 불필요한 요소들은 aria-hidden="true"를 적용해 탐색에서 제외함
- 모달 창 같은 요소는 ESC 키를 누르면 닫히도록 구현하는 게 UX적으로 중요
기존에 footer 섹션에 이메일 부분에만 focus로 outline을 적용하였는데, button에도 추가함.
이를 통해 구독하기, 바로 보러가기 같은 버튼에 focus가 가 있으면 바로 확인 가능.
그냥 focus는 모든 경우의 focus에 해당하지만,
focus-visible 속성은 키보드로 이동한 focus에만 적용이 됨. 그 차이를 둔 것.
<a>, <button>, <input>
같은 원래 포커스 가능한 요소들각 섹션마다 순서대로 tab으로 유도하고, 중간에 스크롤 리더기에서 무시하면서, 탭으로 인식할 필요가 없는 스크롤 트리거를 위한 요소에는 tabindex= -1 적용,
이렇게 스크롤 트리거를 위한 요소들에는 aria-hidden="true"를 확실하게 적용시켜 준다.
각각 메뉴 모달과 장바구니 모달이 떠 있으면 그 것들을 esc를 통해 닫을 수 있도록 추가.
<meta property="og:image">
태그로 설정<meta name="twitter:image">
같은 메타 태그를 활용
일러스트로 뚝딱 만들고 PNG 추출 > squoosh로 avif로 손실 압축하여 용량 최대 확보
<script>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meta name="robots" content="noindex, follow"> <!--noindex로 검색엔진 허용 x 그러나 follow로 링크는 인식-->
<!-- Open Graph (OG) Meta Tags -->
<meta property="og:title" content="CLAYN - 감성적인 미니멀 도자기 브랜드">
<meta property="og:description" content="CLAYN은 미니멀 감성의 도자기 브랜드 랜딩 페이지입니다.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컬러와 실용적인 디자인을 통해 특별한 공간을 완성하세요.">
<meta property="og:image" content="https://gangordie.github.io/CLAYN/public/icons/open-graph.png"> <!-- 절대 경로 사용해야함 -->
<meta property="og:url" content="https://gangordie.github.io/CLAYN/">
<meta property="og:image:width" content="1200">
<meta property="og:image:height" content="630">
<meta property="og:type" content="website">
<!-- Twitter Card -->
<meta name="twitter:card" content="summary_large_image">
<meta name="twitter:title" content="CLAYN - 감성적인 미니멀 도자기 브랜드">
<meta name="twitter:description" content="CLAYN은 미니멀 감성의 도자기 브랜드 랜딩 페이지입니다.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컬러와 실용적인 디자인을 통해 특별한 공간을 완성하세요.">
<meta name="twitter:image" content="https://gangordie.github.io/CLAYN/public/icons/open-graph.avif">
<meta name="twitter:image:alt" content="CLAYN 브랜드 썸네일 - 감성적인 미니멀 도자기 브랜드">
<title>404 | 도자기가 부서지듯, 이 페이지도 사라졌습니다.</title>
</script>
요렇게 카톡같은데에 링크 줄 때, 썸네일이 적용됨!!
이로 인해 SNS 공유 할 때의 UX도 개선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