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 OSI 7 계층

고태희·2022년 3월 10일
0

CS

목록 보기
12/20

OSI 7 계층

배경

호환성을 위해 표준을 정한 것

7계층 나눈 이유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알 수 있고,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그 단계만 수정할 수 있다.
ex) 라우터에 문제가 생기면 Network Layer만 보면된다.

작동원리

  • 전송 시( 7 -> 1 ) 각 층마다 헤더를 붙임 (캡슐화)
    • 2계층에서만 오류제어를 위해 꼬리부분에 추가됨
  • 수신 시( 1 -> 7 ) 헤더를 뗴어냄(디캡슐화)

Physical Layer

전송 단위 bit
ex ) 리피터, 허브

  • 단지 데이터를 기계적 /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케이블로 전송만 할 뿐,
    데이터가 무엇인지, 오류가 있는지 체크 x

전송 단위 frame
ex) 스위치

  • 물리 계층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관리, 흐름관리 => 안전하게 정보전달
  • MAC주소를 통해 통신한다. 프레임에 MAC주소 부여
  • Point to Point간 신뢰성있는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계층 CRC기반의 오류제어, 흐름제어

Network Layer

전송 단위 packet
ex) 라우터, IP

  •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기능(라우팅) 담당
  • 라우터를 통해 이동할 경로를 선택하여 IP주소를 지정하고, 해당경로로 패킷전달
  • 라우틸 과정에서 상위 계층인 Transport 계층이 요구하는 Qos 보장
  • 라우팅 , 흐름제어, 세그멘테이션, 오류제어, 인터네트워킹

Transport Layer

전송 단위 segment
ex) TCP , UDP

  • TCP와 UDP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을 활성화한다. 포트를 열어서 프로그램들이 전송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End to End의 사용자들이 신뢰성있는 데이터를 주고받게 해주어 상위계층에서 데이터 전달의 유효성이나 효율성을 생각하지 않도록 해준다. => 전송실패한 패킷을 재전송한다.
  • TCP : 신뢰성 , 연결지향적 => 패킷 손실/중복/순서비뀜이 없도록 보장
  • UDP : 비신뢰성, 비연결성, 실시간

Session Layer

전송 단위 data
ex) API, Socket

  • 데이터가 통신하기 위한 논리적 연결 담당, 통신을 하기 위한 대문이라 생각
  • 양 끝단의 응용 프로세스가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제공 ex) duplex, half-duplex, Full-duplex

Presentation Layer

전송 단위 data
ex) JPEG, MPEG

  • 데이터 표현에 대한 독립성 제공, 암호화 역할
  • 파일 인코딩, 명령어를 포장/압축/암호화

Application Layer

전송 단위 data
ex) HTTP , FTP

  • 응용프로세스와 직접 관계하여 일반적인 응용서비스 수행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