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 UDP

고태희·2022년 3월 10일
0

CS

목록 보기
15/20

개념

User Datagram Protocol, 데이터를 데이터그램 단위로 처리하는 프로토콜이다.

특징

비연결형, 비신뢰성

  • 오류제어가 거의 없다 (Checksum만 확인한다)
  • UDP에서의 에러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는 번거로움이 존재

사용이유

  • 속도
    • 데이터의 처리가 TCP 보다 빠르다. 빠르기 때문에 실시간에 적합하다.
    • 인터넷 전화, 온라인 게임,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분야에서 사용된다.
    • ex) 실시간 방송에서 네트워크가 안좋을때를 떠올리면 된다. 방송에서 끊겨도 끊긴 부분을 다시 볼 수 없다.
  • 패킷 오버헤드가 적다
    • 세그먼트 당 TCP는 20 Byte인 반면, UDP는 8 Byte이다
  • 단순헤더
    • TCP보다 용량이 가볍고, 빠르다.
    • 확인응답을 못하므로 TCP보다 신뢰성은 낮다.

    • 많은 정보가 들어있는 TCP 헤더와 단순비교해봐도 훨씬 단순하다

TCP와 비교

공통점

  1. 포트번호를 이용하여 주소지정 ( UDP는 53번 포트 사용 )
  2. 오류검사를 위한 Checksum 존재

차이점

DNS에서 UDP 사용이유

DNS는 Application Layer Protocol인데 여기 해당하는 모든 프로토콜은 TCP/UDP 중 하나의 Transport layer protocol을 사용해야한다.
UDP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 존재

  • handshaking이 불필요 => 연결 설정에 드는 비용이 없다.

  • DNS request는 UDP segment에 들어갈 만큼 작다.

  • UDP는 비신뢰성이지만, application layer에서 신뢰성이 추가될 수 있다.

  • DNS를 TCP로 사용하면 모든 연결 설정을 하기 때문에 많이 느려질 것이다.

  • UDP는 어떤 정보도 기록하거나 유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더 많은 클라이언트를 수용할 수 있다. DNS는 항상 많은 클라이언트를 수용하기 때문에 정보 기록을 최소화하는 UDP가 알맞다.

http 문서로 된 웹페이지는 신뢰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TCP를 사용한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