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프로그램
이란 어떤 작업을 위해 실행할 수 있는 파일(실행파일)이다. (.exe)
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주체를 인스턴스
라고 하는데, 즉 프로세스
이다.
ex)
하나의 한글파일(프로그램)이 있고, 한글파일을 두개 띄우면 하나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2개의 프로세스가 동작하는 것이다.
1. 프로세스는 각각 별도의 주소공간 할당(독립적)
이렇게 나눈 이유는 최대한 데이터를 공유하여 메모리 사용량을 줄이기 위함!
2. 프로세스는 병행 실행이 가능하다
이 때, 한 프로세스 가 다른 프로세스의 자원에 접근하려면 프로세스 간 통신(IPC
)이 필요하다.
하지만, 각 프로세스는 별도의 주소 공간에서 실행되며, 한 프로세스는 다른 프로세스의 변수나 자료구조에 접근할 수 없다.
1. 스레드는 프로세스 내에서 각각 Stack만 따로 할당받고, 나머지 영역은 공유한다
스택을 스레드마다 독립적으로 할당하는 이유
는
스택
은 함수 호출 시 전달되는 인자, 되돌아갈 주소값 및 함수 내에서 선언하는 변수 등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모리 공간이므로
스택 메모리 공간이 독립적이라는 것은 독립적인 함수 호출이 가능하다는 것이고, 이는 독립적인 실행 흐름이 가능하게 한다.
2. 한 스레드가 프로세스 자원을 변경하면, 다른 이웃 스레드(sibling thread)도 그 변경 결과를 즉시 볼 수 있다.
이 그림을 보면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차이를 알 수 있다.
스레드는 Stack만 따로 할당받고, 나머지 영역은 서로 공유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프로세스는 자신만의 고유 공간과 자원을 할당받지만,
스레드는, 다른 스레드와 공간, 자원을 공유하면서 사용한다.
프로세스는 운영체제로부터 자원을 할당받은 작업의 단위이고,
스레드는 프로세스가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하는 실행의 단위이다.
정의 : 하나의 프로그램을 여러 개의 프로세스로 구성하여 각 프로세스가 하나의 작업을 처리하도록 하는 것
장점
단점
Context Switching
으로 인한 성능 저하정의 :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여러 스레드를 구성해 각 스헤드가 하나의 작업을 처리하는 것
장점
단점
Critical Section
기법을 통해 대비함자원의 효율성 증대
프로세스 간의 Context Switching시
단순 CPU 레지스터 교체 뿐 아니라 RAM 과 CPU사이의 캐쉬 메모리에 대한 데이터까지 초기화되므로 오버헤드가 크기 때문
처리비용 감소 및 응답 시간 단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