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과 시스템 사이 케이블같은거 그 그 규격이 인터페이스 통신 규칙을 프로토콜 연결된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드웨어 관점(USB 규격, 접촉지점 표준화), 소프트웨어 관점(함수를 정의할 때 표준화하여 정의하고, 함수를 부를 때 변수를 지정)
전송 매체: 시스템끼리 정해진 연결 방법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할 때 필요한 물리적인 전송 수단. 통신 케이블 등.
프로토콜: 같은 층계에 있는 것끼리 통신하는 거?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인터넷: 네트워크들이 통합된 거. I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표준화: 연동 가능하게 규격을 통일하는 형식.
시스템의 구분
노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시스템인데 데이터를 주고받을 기능을 가지고 있다.
라우터: 시스템 사이에 라우터가 있는데 네비게이션처럼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호스트: 인터넷 바깥에 연결되어있는데, 호스트와 시스템은 거의 동일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 시스템이 휴대폰이 될 수 있고 컴퓨터가 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제안을 함. 네트워크에 연결된 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기본 구조와 기능을 정의.
각각의 계층이 전송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일반 사용자는 용용계층에서 요청을 한다.
계층별 기능
프로토콜과 인터페이스
- 같은 계층끼리 소통하는 것이 프로토콜
네트워킹끼리의 연결
두 개이상 연결하려면 중계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게이트웨이라고 부름
- 리피터: 물리계층의 기능을 지원
거리가 멀어지는 걸 방지하기 위해 신호를 증폭시킨다.
- 브리지: 오류나 손실을 해결해주는 기능.
- 라우터: 최적의 경로 지원.
IP 주소
IP 프로토콜이 호스트를 구분하려고 사용. 8비트씩 네 부분으로 나누어 십진수로 표현함.
이진수를 십진수로 바꾸는 방법을 알고 있어야 함.
211.223.291.30인 패킷이 라우터에 도착하면 어쩌구~~
호스트 이름
문자로 된 이름을 사용한다. 변환하는 과정이 있다.
상위계층에서 이름을 DNS에 요청하면 그에 상응하는 IP주소를 보낸다. 그럼 IP 프로토콜로 서비스를 요청한다.
호스트 이름을 어떤식으로 표기하는가
국가 도메인, 단체 종류, 단체 이름, 호스트
kr, co, korea, www
-> www.korea.co.kr
호스트 파일
호스트 파일에 도메인과 IP주소를 저장해둔다. 호스트이름을 보내면 파일을 참조해서 IP주소를 찾아줌.
다른 호스트에 복사해둔다. like 체인링크.
DNS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호스트 주소와 이름 정보는 네임 서버라는 호스트가 유지하고, ...
기타 주소
- 포트 주소: 프로세스를 구분해줌.
운영체제에서 배웠을 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