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6월 첫 직장에 입사한지 벌써 8개월이라는 시간이 흘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올해부터 메인 개발자로 참여하게 된 인포크링크 팀에서 진행했던 프로젝트 서버 컨테이너화의 상세 과정에 대해서 다뤄보려고 합니다. AWS의 다양한 스택 사용을 염두에 두고 계시거나, 더
먼저 Docker를 활용해 서버 이미지를 빌드합니다.우리가 빌드할 이미지는 서버인 장고 컨테이너 이미지, 장고 앞단에 사용할 nginx 컨테이너 이미지 총 2개입니다.장고와 함께 nginx를 사용하는 이유는 바로 장고에서 사용하는 runserver 커맨드가 "개발 및
1부(https://velog.io/@gouz7514/ECS%EC%99%80-Docker-%EC%82%AC%EC%9A%A9%EA%B8%B0-1%EB%B6%80-ECS-Docker-%EB%B0%95%EC%B9%98%EA%B8%B0\*\*\*AWS의 ECS에서 클
본 글에서는 배포된 서버 환경에서의 테스트 그리고 CDK를 통한 서버 관리에 대해서 다룹니다.앞선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1부, 2부를 참고하세요!실제 request 수와 비슷하게 재현한 로컬 환경에서의 스트레스 테스트도 문제 없이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at
vue-query 적용을 통한 서비스의 성능 개선! (feat. react-qu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