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의존관계 주입)
- Spring 프레임원크에서 지원하는 IoC의 형태로 클래스 사이의 의존관계를 빈 설정 정보를 바탕으로 컨테이너가 자동으로 연결해줍니다.
스프링에서는 스프링 컨테이너 ApplicationContext를 이용하여 설정 정보를 생성, 등록하고 필요한 객체를 생성자 혹은 setter를 통해 주입합니다.
DI의 종류
- DI는 세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생성자 삽입, Setter를 이용한 메소드 매개 변수 삽입, 필드 주입이 있습니다. 생성자 주입은 생성자 호출시점에 딱 1번만 호출되는 것을 보장하며 불변,필수 의존관계에 사용합니다.
Setter주입은 선택,변경 가능성이 있는 의존관계에 사용되며 스프링 빈을 선택적으로 등록이 가능합니다.
필드주입은 '@Autowired' 를 사용하는데 외부에서 변경이 불가능하여 테스트하기 힘듭니다.
DI프레임워크없이는 작동하기 힘들며, 주로 애플리케이션과 관계없는 테스트코드나 '@Configuration'같은
스프링 설정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IoC(제어의 역전)
-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직접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관리하는 것으로 코드의 최종호출은 개발자가 제어하는 것이 아닌 프레임워크의 내부에서 결정된 대로 이루어집니다.
IoC 컨테이너의 역할은 무엇인가?
- 애플리케이션 실행시점에 빈 오브젝트를 인스턴스화하고 DI한 후에 최초로 애플리케이션이 가동할 빈 하나를
제공해준다.
Spring Bean이란?
- IoC컨테이너 안에 들어있는 객체로 필요할 때 IoC컨테이너에서 가져와서 사용합니다. @Bean을 사용하거나
xml설정을 통해 일반객체를 Bean으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Spring Bean의 생성과정
- 객체 생성 -> 의존 설정 -> 초기화 -> 사용 -> 소멸 과정
Bean은 스프링 컨테이너에 의해 생명주기를 관리하며 빈 초기화방법은 @PostConstruct 를 빈 소멸에서는
@PreDestroy를 사용합니다.
생성한 스프링 빈을 등록할 때는 ComponentScan을 이용하거나 @Configuration 의 @Bean 을 사용하여
빈 설정파일에 직접 빈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Spring Bean의 Scope
- 빈 스코프는 빈이 존재할 수 있는 범위를 뜻아며 싱글톤, 프로토타입, request, session, application 등이 있습니다. 싱글톤은 기본 스코프로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종료까지 유자되는 사장 넓은 범위의 스코프입니다. 프로토타입은 빈의 생성과 의존관계 주입까지만 관여하고 더는 관리하지않는 매우 짧은 범위의 스코프입니다.
request는 웹 요청이 들어오고 나갈때까지 유지하는 스코프, session은 웹 세션이 생성, 종료할때까지, application은 웹 서블릿 컨텍스트와 같은 범위로 유지하는 스코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