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벨로그, 티스토리, 미디움 등 좋은 블로그 사이트 들이 많지만 서치를 하다보면 '개발자스럽게' 커스터마이징된 블로그들이 많이 보였다. 그래서 만들어본 나만의 블로그 👀
직접 커스터마이징해서 홈페이지를 만들 수도 있겠지만 시간도 많이 걸리고 좋은 템플릿들도 많기 때문에 눈여겨봤던 gatsby-starter-bee 로 블로그를 만들기로 결정했다.
1) 정적 사이트 생성기인 Jekyll 또는 Gatsby를 이용해서 블로그를 만든다.
2) github pages 또는 netlify로 호스팅을 한다.
3) google search console을 이용해서 검색엔진에 등록하기
💡 정적 사이트란?
정적 사이트 (Static Site)는 HTML, CSS, JavaScript로만 이뤄진 사이트다.
보통 동적인 사이트들은 사용자의 인터랙션에 따라 웹 페이지가 바뀌어가지만 정적인 웹 페이지는 항상 같은 내용을 보여주기 때문에 구축이 쉽고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 기업 사이트 또는 개인 포폴 사이트에 많이 쓰인다.
보통 정적사이트 생성기는 Jekyll 또는 Gatsby가 많이 쓰인다.
Jekyll은 Ruby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고
Gatsby는 React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다.
Ruby는 한번도 사용해본적이 없기에 익숙한 React 기반의 Gatsby를 선택했다.
--> Gatsby가 속도도 빠르고 React, GraphQL 기반으로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다.
gatsby-starter-bee말고 다른 스타일의 템플릿을 원한다면 Gatsby Starters 페이지에서 서치하면 된다.
npm install gatsby-cli
gatsby new my-blog-starter https://github.com/JaeYeopHan/gatsby-starter-bee
cd my-blog-starter/
npm start
# open localhost:8000
Github Pages로 배포하기 위해서 ${my github id}.github.io 라는 레포지토리를 생성한다.

레포지토리를 만들고 난 후 설치한 my-blog-starter에서 git bash를 실행시켜 해당 폴더의 git 정보를 초기화 해준다.
rm -rf .git
git init
이후 아래 명령어로 내 repository에 push를 해준다.
git add .
git commit -m "Init blog project"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Github_ID}/${Git_Repository_Name}.git
git push -u origin master
여기까지 진행했다면 ${Github_ID}.github.io로 접속했을 시 해당 레포지토리의 Readme.md 파일이 뜬다.
우선 package.json 파일로 들어가 괄호쳐놓은 name, description, url 등의 부분을 자신의 정보에 맞게 수정한다.

gatsby.meta.config 파일에 쓰여진 주석에 맞게 알맞은 정보를 등록한다.

npm start 로 localhost에서 수정된 부분을 확인해보세요.
--> src 내 components, styles 폴더 등을 둘러보며 자신의 스타일에 맞게 custom 할 수 있습니다.
만들어 놓은 gatsby blog는 정적사이트이기에 markdown을 이용해서 포스팅 해야한다.
content내에 있는 .md 파일들을 직접 수정하고 생성해서 포스팅하는 방법이다.

gatsby-starter-bee Tutorial 에 나와있듯이 gatsby-post-gen 설치 후 npm run post를 이용해 아래 움짤처럼 포스트 등록을 할 수 있다.

npm install -D gatsby-post-gen
# yarn add -D gatsby-post-gen
"scripts": {
"create": "gatsby-post-gen",
}
npm run create # Create blog post to `.md` file
배포와 검색엔진 등록은 2탄에서 -->>
개츠비로 블로그 만들어보고 싶었는데 좋은 글 너무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