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ERD의 개체와 관계를 릴레이션 스키마로 변환
② 릴레이션 스키마에 기본 키 표시
③ 릴레이션 스키마의 단순화
④ 정규화(Normalization)
구분 | 변환 방법 | 기본 키 |
---|---|---|
단순 속성을 갖는 개체 | 모든 속성이 릴레이션의 속성이 된다. | 개체의 후보 키 가운데 하나가 릴레이션의 기본 키가 된다. |
일반 속성인 복합 속성을 갖는 개체 | 복합 속성을 구성하는 모든 속성이 릴레이션의 속성이 된다. | 개체의 후보 키 가운데 하나가 릴레이션의 기본 키가 된다. |
후보 키인 복합 속성을 갖는 개체 | 복합 속성을 구성하는 모든 속성이 릴레이션의 속성이 된다. | 복합 속성을 구성하는 모든 속성들이 기본 키가 된다. |
약한 개체 | 소유 개체(주 개체) 타입을 갖는 약한 개체 타입에 대하여 릴레이션을 생성하고, 약한 개체 타입에 속한 모든 단순 속성들을 릴레이션에 포함시키고, 소유 개체 타입의 기본 키를 약한 개체 타입의 외래 키로 포함시킨다. | 약한 개체 타입에 해당하는 릴레이션의 기본 키는 약한 개체 타입의 부분 키(구별자)와 소유 개체 타입에 해당하는 릴레이션을 참조하는 외래 키의 조합이 기본 키가 된다. |
1) 다중치 속성을 위한 별도의 릴레이션을 생성한다.
2) 다중치 속성을 갖는 개체 타입이나 관계 타입에 해당하는 릴레이션의 기본 키를 외래 키로 포함시킨다.
3) 외래 키와 다중치 속성의 조합을 기본 키로 정의한다.
1) 일대일(1:1) 관계
2) 일 대 다 (1:n) 관계
1) 정의 방법
(1) 묵시적 정의
(2) 명시적 정의
(3) 정의 기준
① ERD를 릴레이션 스키마로 변환하면서 기본 키와 외래 키가 식별되면 개체 무결성과 참조 무결성은 묵시적으로 정의되므로, 논리적 모델링 단계에서 명시적으로 정의할 필요는 없다.
② 널 값 허용 여부(NOT NULL 제약조건), 고유 값 여부(UNIQUE 제약조건), 속성 값이 만족해야 하는 특정 조건(CHECK 제약 조건) 등의 제약조건은 논리적 모델링 단계에서 명시적으로 정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