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글로 사용되는 것!
RAC 개념이 HA(고가용성)에도 속한 것이지만, 한국에서는 개념을 다르게 사용한다.
OS Cluster(Oracle 기능 아님!!) 기능을 사용해서, OS를 2개 각각 구성한다.
각 OS에는 Public IP(고정; PIP), Virtual IP(VIP;가상이라는 뜻 아님! 미국에선 실제라는 뜻이라고 한다)를 설정한다. Virtual IP만이 다른 서버를 바라볼 수 있다고 한다.
평소에 싱글로 사용하다가, OS 1번째 것이 장애가 났을 경우, Virtual IP로 향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한다.
+a 로 또 다른 방식으로는 스토리지에 /ORACLE_HOME으로 설치해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고 한다. (라이선스 비용이 비쌀 경우에 사용되는 방법)
오라클 개념 중 가장 어려운 방법
Active-Active로 구성
두 개의 인스턴스가 하나의 DB를 바라본다.
두 노드 중 하나가 장애가 났을 경우, voting disk라는 것이 두 노드 중간에 연결되어 있는데
voting disk가 둘 중 누가 장애가 났어? 첫번째거? 그러면 분리할게! 해주는 역할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