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acle] Idle 대기 이벤트

prana·2024년 10월 1일
0

ORACLE

목록 보기
15/96
post-thumbnail
  • 서버 프로세스가 유휴 상태일 때 발생세스가 유휴 상태일 때 발생하는 대기 이벤트
  • 데이터베이스가 특정 작업을 처리하기 전에, 외부 요인을 기다리는 상태를 나타내며, 성능 분석 시에는 주로 무시해도 되는 이벤트들이다.
  • 이런 대기 이벤트는 SQL 처리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튜닝의 대상이 아니다.

1. SQL*Net message from client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SQL문 또는, 데이터를 보낼 떄 서버가 클라이언트로부터 메시지를 기다리는 대기 이벤트이다.
  • 특징: 주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데이터를 보내지 않거나, 사용자가 입력을 마치지 않았을 때 발생한다.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기다리는 중인 유휴상태이다.

2. smon timer

  • 시스템 모니터(SMON) 프로세스가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작업을 기다리기 위한 타이머 대기
  • SMON은 크래시 복구, 임시 세그먼트 해제, 미사용 공간 병합 등 작업을 처리한다.
  • 특징: SMON이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전, 대기하는 시간이다. 작업이 주기적으로 실행될 때에만 발생한다.

3. pmon timer

  • 프로세스 모니터(PMON) 프로세스가 주기적으로 실행되는 동안 대기하는 이벤트
  • PMON은 비정상 종료된 세션의 리소스를 해제하고, 서버 프로세스를 정리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 특징: PMON이 수행할 작업이 없을 때 대기하는 상태

4. rdbms ipc message

  • 여러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 간에 내부 통신을 위한 메시지를 대기하는 이벤트
  • 주로 Oracle의 내부 프로세스 간 통신을 위한 대기 상태이다.
  • 특징: 데이터베이스 프로세스 간 상호 통신에서 발생, 대부분 백그라운드에서 발생

5. wakeup time manager

  • Oracle에서 타이머를 설정한 후, 해당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대기하는 이벤트이다.

6. Queue Monitor Wait

  • Queue Monitor(QMN) 프로세스가 대기 큐(queue)를 감시하는 동안 발생하는 대기 이벤트
  • 큐는 비동기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메시징 메커니즘이다.
  • 특징: 주로 Oracle Streams 와 같은 큐잉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발생
  • 대기열에 새로운 작업이 들어오기를 기다리는 상태

정리

  • Idle 대기 이벤트는 DB가 유휴 상태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들이며, 성능 분석 시에는 주로 무시해도 된다. 이러한 이벤트는 데이터베이스 내부의 관리 작업이나 클라이언트 응답을 기다리는 상태에서 발생하며, SQL의 튜닝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0개의 댓글